네 이웃의 식탁 오늘의 젊은 작가 19
구병모 지음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네 세상 살이에는 타인과 관계를 맺지않고 살기란 쉽지 않다. 크든 작든, 자의든 타의든 우리는 작은 무리, 사회를 이루고 산다. 그것은 여지가 없다. 그 무리들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으며 불협화음없이 잘 지낼 수 있을까
?. 한 뱃속에서 한날한시에 태어난 쌍둥 이들도 세대차가 나
고, 의견충돌이 생기는대 생판 모르는 사람들과 한데 어울려
산다면 불 보듯 뻔하다. 그 뻔한 일을 구병모의 '네 이웃의 식 탁'에서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확인 사살 이라고 할까 공동체
속의 두 얼굴을 사실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나라에서 저출산 해결 방안으로 실험공동주택을 실시 한다.
저마다의 사정과 이유로 12가구 모집에 1차 4가구가 먼저 입
주하여 살게 된다. 어느 무리에나 꼭 한 명씩은 있는 완장신
봉 주의자. 자기 입장만 생각하는 자기편의 주의자, 이쪽저쪽
눈치보는 함묵 주의자 , 모든 규칙을 잘 지키는 규칙 주의자.
처음에 이들은 맞춤과 양보라는 그럴듯하고 유연한 사회적
합의를 내세워 서로의 속내를 감추고 어우러져 지낸다. 사람
의 속성이란 감출래야 감출수 없는 재채기와 같다. 친근함을
가장한 관섭, 우리가 남이가를 내세운 무례함, 보여주기 싫은
가정사를 내보여야하고, 점점 다가와 친근함을 내세우면 귀
찮아도 받아 주어야 한다.

첫 문장에세 뒷마당에 자리잡은 거대한 식탁을 요진이 묘사
하는 장면은 마치 실험주택의 규약서를 읊조리는 느낌이다.

"뒤뜰 식탁은 서로의 팔꿈치가 스쳐도 개의치 않는다고 전제
할 경우 닿기 직전까지 밀도를 높이면 어린이 예닐곱 명은 추
가로 끼어 않을 만했다."

네 이웃이 팔꿈치가 닿을 만큼 밀도 있게 당신 에게 접근하는
것을 허용 하겠습니까? 그래야만 이 공동주택에 살 수 있습니
다. 여기에 동의하면 서명 하시오. 이런 느낌 이라면, 마지막
에 새로운 입주자가 주택을 둘러보러와서 거대 한 식탁을 보
며 기대와 이상에 젖는 장면은 마치 거대한 식탁의 최면에 걸
려드는것 같으며, 이 공동주택의 최후를 보여주는 듯 하다.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 등장하는, 나란히 열세 사람이
나 앉을 수 있는 식탁이 꼭 이랬을까 싶게 큼지막하고 단단해
보였다. 입주자들이 오기 전부터 이 자리에 붙밖인 그대로라
는 식타... 이 공간은 이렇게 활용해야 마땅한 곳 같았다.
어떤 효용이나 합리보나는 철저한 당위가 지배하 는 장소....
눈 앞의 식탁은 이 주 택에서 제일 오래갈 듯이 존재감을 드러
냈다. 이웃간의 따뜻한 나눔과 건전한 섭생 의 결정체 처럼.
여자는 뭔지 몰라도 이 식탁을 오랫동안 아침저녁으로 보고
지낼 자신이 있었다."

과연 누가 이 공동주택에서 오래 남을까? 뒤뜰에 떡하니 자리
잡고있는 거대한 식탁? 새 희망과 꿈에 부풀어있는 새 입주
자?. 어느 책에서 읽은 글귀가 생각 난다.

"통풍이 나쁘면 집이 섞고, 그 집에 사는 사람도 병에 걸린
다고 믿으셨다. 그 믿음은인간관 계에서도 마찬가지 였다. 대부분의 경우 지나치게 관계가 깊어져 서로에게 어느덧 끔찍할 정도로 무거워진 덕분에 문제가 생긴다. 어머니의 말씀처럼 사람이나 집이나 약간의 거리를 둬 통풍이 가능 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최소한의 예의인 듯 싶다."

사람과의 관계는 바람이 통할 정도의 거리를 두는 것이 좋다. 바람이 통할 정도의 거리.... 밀착되어 있으면 짓물러 진다.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적당한 거리 유지. 실험공동주택 사람들은 서로의 살이 짓물러져 1년도 못 되어 뿔뿔이 흩어저 버린다. 기단 공동체안의 문제 만은 아니다. 여기서 다루는 이야기들은 일상 생활에서 우리들이 흔히 접하고 피부로 느끼는 일들이다. 부부 사이의 문 제, 육아의 고충, 맞벌이의 한계, 직장생활, 이웃 남녀간에 오갈 법한 애매한 감정 처리. 네 이웃의 식탁은 구병모 작가의 다른 환타지 작품들과는 사 뭇 다른 극사실주의 작품 이다. 제목을 봤을때는 다른 작품들
과 비슷한 환타지 인 줄 알았는데 아니였다. 전혀 구병모 작가 의 냄새가 나지않 는다. (아가미, 위저드 베이커리) 문체가 간
결하거나 산뜻 함은 없다. 한 문장 길이가 3~4줄이라(작가의
특징) 한 호흡에 읽기가 다소 버겁기는 하지만, 그래도 구병
모 작가의 다름이 묻어나 좋다. 더불어 다른 누군가와 함께
어우 러져 산다것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있게 생각하게 되는
참으로 좋은 작품이다.(역시 작가님 대단 하심. 쓸데없는 말로 아무리 늘리고 늘려도 두 줄.)

# 덧붙이기#
"말하자면 이 공동주택은 집에 있기로 결정한 사람이 개
인적인 욕망을 내려놓고 육아를 보람으로 삼는 것이 총체
적으로 건강에 이로운 곳 이라는 결론이 자연스러웠으며, 각오하고 인내 해야만 하는게 아니라 그것이 즐거움이자 삶의 원동력인 동시에 성취의 기준이어야 했다."

이것이 작가님이 내린 공동주택(공동육아)의 정의 인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