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독특하고 매력적인 작가를 만났다.
'크레이지 사야카'라는 별명을 가진, 무라타 사야카.
독특한 캐릭터로 일본에서 유명 하다는데 그녀의 작품 '편의점 인간'을 읽고나니 그 이유를 알것 같다.

독특하지만 이질감이 없고, 새로우면서도 튀지 않고, 독창적이나 동떨어지지 않고, 자유로우나 방만하지 않고, 쾌할하나 경박하지 않은 그런 글을 쓰는 (그녀의 표현을 빌리자면) 생물 이다.

모든 세포가 편의점을 위해 존재하는 '후루쿠라'.
무리에서 쫓겨나지 않고 방해자로 취급당하지 않기 위해 동네 편의점에서 18년동안 보통 사람의 거죽을 쓰고 '보통 인간'  이라는 가공의 생물을 연기하며 매뉴얼대로 행동한다.  그녀는 서른여섯 살 생물 이다.

-"왜 편의점이 아니면 안 되는지, 평범한 직장에 취직하면  왜 안되는지는 나도 알 수 없었다. 다만 완벽한 매뉴얼이 있어서 '점원'이 될 수 있었다. 매뉴얼 밖에는 어떻게 하면 보통 인간이 될 수 있는지 여전히 모르는 채였다."-

세상은 '보통 인간'에 대한 매뉴얼이 있다.
학교를 다니고, 친구를 사귀며  취직을 한뒤, 결혼을 하 고 애를 낳는다. 이것이 '이쪽' 세계인 정상 세계이며 이 조건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람은 '저쪽'이 된다. 저쪽은 세상의 이물질 이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삶을 인정 한다고는 하지만. 다른 것을 불편해 하고 인정하지 않는다. 똑같이 학교를 다녀야 하고, 똑같이 경제 활동을 해야하고, 똑같이 결혼을 해야 하고, 똑같이 애를 낳아야 한다. 무리에서 이탈하면, 좀 이상한 인간으로 취급 받는다.

획일화를 요구하는 사회,
세상이 필요로 하는 부품이 되라고 강요하는 사회.
쓰임받지 못하면 버려지고, 폐기되는 사회를 작가는 편의점을 빗대어 얘기하고 있다.

-"편의점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교체되고 있을 뿐, 줄곧 같은 광경이 계속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끝도 없이 필요한 '인간'이 되라고 강요를하는 사회 .
작가는 '시라하'의 입을 통해서 그건 사회가 간강하는 것 이라고 말 한다.
오만한 참견은 강간이다 그런 뜻 인듯하다.

_"밖에 나가면 내 인생은 또 강간당합니다. 남자라면 일을 해라, 결혼을 했다면 돈을 벌어라, 애를 낳아라. 무리의 노예예요, 평생 일하라고 세상은 명령하죠, 나는 평생 아무 일도 하고 싶지 않습니다. 죽을 때가지 평생 누구한테도 간섭받지 않고, 그냥 숨을 쉬고 싶어요, 그것만 바라고 있습니다."

무리에서 이탈 된 '후루쿠라' 와 '시라하'.
둘은 대조적 이다. 시라하는 자기 비관과 자기 연민이 강하다. 시종일관 세상을 향해 원망과 화를 낸다. 세상은 기능 부전이며, 현대사회는 석기시대와 같다고 입버릇 처럼 말한다. 그의 말이 옳다고는 하나 그는 세상에 자신의 기능을  보일 능력이 없다. 그져 누군가를 숙주로 삼고 기생하고 싶을 뿐이다. '후루쿠라'의 말처럼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들여 아무 생각 없이 되는대로 용어를 연발할 뿐이다. 그는 후루쿠라를 숙주로 삼기로 한다.

"나를 숨겨줘요"
"세상으로부터 숨겨달라고요."

후루쿠라는 시라하와 달리 자기 내면이 강하다.
그녀는 자신과 보통 인간이 다르다는 걸 안다. 다른건 틀린게 아니다. 틀린것이 아니기에 굳이 가족과 친구들과 세상을 설득 시키려하지 않는다. 기꺼이 가족과 친구들이 안심하고 납득할 수 있도록 보통 사람 이라는 거죽을 쓰고 편의점 '점원'이라는 연기를 한다. 그건 편의점 '점원'이라는 매뉴엘을 그대로 따르기만 하면되기에 가능한 일이다.

세상 살이에는 매뉴얼이 따로 없다. 암묵적인 규칙과 원칙만 있을 뿐 이다. 그건 사람에 따라 환경에 따라 다르다. 어떤것이 옳은 것인지 그릇된 것인지 정답이 없기에 항상 어렵고, 당황되며 실수하고 불편하다.

살면서  문득문득 인생에도 사용 설명서나 매뉴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사회 속에서 관계를 맺고  산다는게 무척이도 어렵고 힘들게 느껴질때가 있다.  다른 생각과 다른 의견을 용납하지 않는다. 아니라고 말을 하면 이상한 사람, 튀는 사람, 까탈 스러운 사람으로 취급한다.

-"이상한 사람한테는 흙발로 쳐들어와 그 원인을 규명할  권리가 있다고 다들 생각한다."
_"무리에 도움되지 않는 인간에게 프라이버시 따위는 없습니다. 무리에 기여하지 않는 인간은 이단자예요. 그래서 무리에 속한 놈들은 얼마든지 간섭하죠."

간섭...
이건 너를 위한 충고야로 시작한다.
회유와 질책, 억측과 비난이 섞인 말.
어쩌면 자신은 무리의 부속품 답게 열심히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것에 대한 불안 인지도 모르겠다. 누군가 무리를 이탈해 자리를 박차고 나간다면 그건 자신의 세계가 부정되고 무너지는 것이기에  용납이 안되는 것일 수도 있다.

-"왜, 그렇게 안심하고 싶을까."_

이 책은 세상의 이야기를 통속적이지 않게 얘기해서 좋다.  무거운 주제를 암울하고 침울하지 않게 전개해서 좋다. 결말에 후루쿠라가 편의점 점원 이라는 동물로 돌아가서 다행이다.

-"그녀는 깨달았다. 자신은 인간인 것 이상으로 편의점 점원 이라는 것을.그런 생물은 세상이 용납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었다. 자신이 편의점 점원이라는 동물의 본능을 배반 할 수 없다."-

편의점에게 러브레터를 쓰는 작가.
편의점을 너무도 사랑하는게 느껴진다.
자신의 세상에 확고하게 자리잡은 후루쿠라 이자 작가인 무라타야 사야카를 알게되어서 다행이다.
그녀의 다른 작품이 읽고 싶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