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카르테 1 신의 카르테 1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채숙향 옮김 / 작품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신의 카르테* (나쓰카와 소스케)

"지금 처럼 다망한 병원에서 많은 환자들을 진료하는게 의사의 본분이라고 생각하네.
그런 인간에게 고도의 의료라는 게 어디까지 필요할지 내 안에서 결론이 나질 않아."

"좋은 의사가 되고 싶다. 하지만, 무엇이 '좋은 의사'를 만드는가, 이는 내 머릿속에 깊이 뿌리 밖혀 있는 지상 최대의 난제이다."

괴짜 의사라 불리는 주인공 구리하라 이치도.
대학병원의 자리를 거절하고 24시간 365일 열려있는 지방 소도시 혼조병원에 남기로 결정 한다.

의사 이면서 작가인 나쓰카와 소스케의 병원 현장담 같은 세세한 묘사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간결한 문장 덕분에 읽는 내내 집중하게 되고 감정 이입이 잘된다.

전체적인 전개는 유쾌하면서도 잔잔하고 따스하다.
여느 의학 소설들에서 다루는 병원내 권력 다툼,선과 악의 대립에서 오는 긴장감은 없지만 그점이 더 매력적이다.
의사 이야기가 아닌 오직 사람에 대한 이야기.
끈임없이 사람이 죽어나가는 병원 이라는 장소에서 인간의 생사에 대해 이야기만을 하고 있다.
병원의 실익을 따지는 수첩이나 계산기, 지위 따위가 아니라 몸 하나만을 이야기 한다.
삶과 죽음 이라는 다소 무겁고 까다로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의사작가라 그런지 현실감이 있고 무겁지 않게 잘 풀어 냈다.

5년차 내과의 구리하라.
고령의 갈곳없는 말기암 환자를 더이상 해줄 것이 없다고 집으로 돌려 보내는 대도시의 대학병원과 다르게 환자가 인간답게 대우받고 존엄하게 생을 마감 할 수 있도록 그는 밤이고 낮이고 휴일도 없이 충혈된 눈과 아스피린으로 버티며 병원내를 동분서주 한다.
그럼에도 죽음은 늘 찾아온다.
그 속에서 밀려드는 무위, 무색, 무용, 무력감.
의사로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그저 멍하니 서서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자신을 혐오하며 자책하기 일쑤다.

"나는 그저 지나가는 생명과 함께 이 시간의 흐름을 공유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내과의 에게는 무기가 없다.
있는 거라곤 그저 병실을 돌아다닐 수 있는 두 다리 뿐이다."

자신이 내린 결정이, 진정 환자를 위한 것이 였는지 자신의 이기심으로 내린 결정은 아니였는지 늘 고민에 고민을 한다.
5년차 베터랑 의사 임에도 늘 초임 의사와 같은 열정과 이상주의적 신념으로 무장한 구리하라, 그가 힘들 때마다, 고뇌에 빠질때 마다 읊조리는 말.

'무슨 상관 인가'
'괜찮다. 이것이 내가 택한 것이다.'
'사람에게는 맞고, 안 맞는 게 있다.'
'난, 환자에게 카스테라를 사주는게 싫지 않다.
'난, 이게 맞아.'
이 말을 들을때 마다 가슴이 뭉클하고 한 편으로는 바보 스럽다가도 안도의 숨을 내쉬게 된다.

의사도 사람이다.
지키고 돌보아야 할 가족이 있다.
언제나 환자가 최우선 일 수는 없다.
그럼에도 환자에게는 그런 의사가 필요하다.
누구나 다 일 필요는 없지만 '난, 이게 맞아' 라고 읊조리는 구리하라가 필요하다.
병을 앓는 건 정말 고독한 일이기 때문이다.

신의 카르테에는 악인이 없다. 그래서 좋다.
대신 다양한 과짜 케릭터들이 있다.
공룡 같은 거구의 의외로 순진한 외과 의사 지로, 지적이고 냉철한 마음 따뜻한 혈액내과의 다쓰야, 차갑게 굴지만 배려 깊고 든든한 간호사 도자이, 능글 맞으나 버팀목인 선배의사 왕너구리 부장, 늙은 여우 부부장, 이치토의 안식처인 '온타케소'에 사는 박사, 엉뚱한 천재화가 남작, 그의 아내 하루나.
이들을 통해 유쾌한 웃음과 삶의 진지함과 고뇌를 볼수 있다.
이들에게는 매화 같은 귀품, 벚꽃과 같은 따스함, 복숭아 꽃같이 화사함, 꽃산 나무 꽃 같이 온화함이 있다.

읽는 내내 사람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고,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다.
이 책은 죽음에 대한 안내서라 해도 부족함이 없다.
사는것 만큼 죽는 것 또한 중요함을 강조한다.
여러 죽음을 통하여 , 나는 어떤 죽음을 맞이하게 되며, 어떻게 죽음을 맞이 해야 할지를 보여준다.

"사람은 반드시 죽어, 우리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인간은 이백 살까지 살 수 없어.
어떻게 살 지에 대해서만 떠들어대는 이 세상이지만, 어떻게 죽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것이 의사의 일이야."
(왕너구리 부장)

"죽어가는 사람에게 가능한 한 모든 의료 행위를 행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사람들은 좀더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전부 해 달라'라고 울면서 소리치는 게 미덕이라는 식의 생각은 슬슬 버려야 한다.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면 의사는 가족의 요구와 관계없이 처음부터 전력을 다해 치료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살아나지 않을 사람.
즉 노환으로 누워있는 고령자나 말기암 환자에게 행하는 의료이다."

" 정말 '살아 있는'걸까?.
고독한 병실에서 기계투성이가 되어 호흡을 계속 한다는 것은 비참한 일이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초고도 의료 수준의 세계에서는 그런 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구리하라는 70세의 말기암 환자 아즈마에게 연명치료를 하는 대신 그가 남은 날을 최대한 즐겁게 지낼 수 있도록 인간으로써 존중을 받을 수 있도록 따스한 돌봄을 선택 한다.
아즈마에게 필요한 것은 의학이 아니라 고독하지 않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었다.

월당잉 전도사 최주철의 '해피엔딩, 우리는 존엄하게 죽을 권리가 있다.' 라는 책을 겸하여 읽으면 도움이 많이 될것 같다.
암에 걸린 딸과 아내를 웰다잉으로 떠나보낸 그의 경험과 '웰다잉 선진국'을 돌며 취재하듯이 '존엄한 죽음(웰다잉)'을 공부한 내용이 담겨있다.

그를 인터뷰한 일간지 신문기사 내용을 보면 죽음을 삶 이야기로 바꿔서 이야기 하라고 한다. 동전 앞뒷면 같은 삶과 죽음. '어떻게 죽을 것인가'가 아니라 '마지막 삶은 어떤 모습으로 살 것인가'라고 질문을 바꿔보라고 한다.

그가 말하는 괜찮은 죽음에 대해 2009년 대법원이 처음으로 존엄사 판결을 내렸던 사례를 예로 설명한 부분이 있다. 뇌 손상으로 식물인간 상태가 된 환자의 인공호흡기를 떼게 해달라는 가족 요구를 병원이 거부해서 소송까지 간 '김 할머니' 사건이다. 판결문을 보면 김 할머니가 예전에 당한 교통사고 이야기가 나온다. 사고로 팔과 몸에 상처가 생겼는데 무더운 여름에도 그 상처를 남에게 보이기 싫어서 긴 치마와 긴 소매 옷을 입고 다녔다 . 이게 근거가 됐다. 그런 삶을 살아온 사람이 중환자실 초라한 모습으로 세상에 남고 싶었을까? 스스로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 품위 있는 죽음을 미리 고민하고 '난 이렇게 죽겠다, 아니 난 이렇게 마지막 삶을 살겠다'고 알렸던 거라고 한다."

그는 존엄한 삶을 살다 떠나고 싶은 것. 그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게 준비하는 건 중요하고 의미가 있으며, 자살을 부추긴다거나 생명 경시와는 거리가 멀고,진로, 직업, 결혼 같은 인생에 중요한 결정은 스스로 내리면서 죽음을 선택하지 못한다면 가장 슬픈 일 이라고 말한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다루기 힘든 부분이다.
그 누구도 죽음을 미리 준비하고 싶지는 않을께다.
스스로 말하기는 더더욱 껄끄러운 것.
공감은 하지만 내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적용되는 존엄사.
무엇이 옳은 선택 인지는 모른다 선택에 대한 갈등과 고민은 끈임없이 이어질 것이다.
그러기에 미리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정리 한다면 남은 가족에겐 그 만큼 부담은 덜어질 것이고 자신에게는 삶을 돌아볼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

진정한 생명의 가치를 끈임없이 고민하고 되 묻던 구리하라와 다쓰야의 자기최면과도 같은 외침이 귓가에 맴돈다.

"양심에 부끄럽지 않은 것, 그것만이 우리가 받을 수 있는 확실한 보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