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생 1 - 아직 살아 있지 못한 자 : 착수 ㅣ 미생 1
윤태호 글.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짧게나마 리뷰를 쓰려고 '미생'을 검색해보니 TVN드라마로 방영했던 게 벌써 2014년도였구나.
그 당시에 남편이 직장인의 애환이 그대로 담겨있어 눈물이 난다며 정말 눈물을 흘리며 보던 드라마 미생ㅎㅎ
나는 아기 취침때문에 방송을 제대로 볼 수 없어 도서관에서 오랜 대기를 거쳐 원작 만화로 보았었다.
처음 읽을 때도 '이게 정말 만화란 말인가'하고 놀랐던 기억이 난다.
소싯적에 내가 읽었던 만화들과 차원이 다른...(그것들은 그저 만화였을 뿐)
'미생'은 신입사원들을 위한 충고와 위로, 경쟁에서 살아남는 방법까지 회사생활을 위한 모든 철학이
담겨있는 듯해서 저절로 말풍선 안의 글들을 꼼꼼히 읽게 된다.
그런 미생을 올 여름에 회사 도서관에서 발견하고 다시 읽어보았다.
1년 만에 다시 읽으니 또 새로운 느낌....
나도 오랜 계약직 기간과 다사다난한 일을 겪으며 이 자리까지 오게 되었고, 실제 등장인물들 중에서
장그래가 나와 제일 비슷하기도 해서 마음속으로 꼭 정직원이 되길 많이 응원했었다.
사회생활 초반에 이렇게 실질적인 조언을 해주는 멘토와 의지가 되는 동료들이 있었다면
나도 좀 더 빨리 적응할 수 있었을 텐데 ㅠㅠ 그런 멘토와 동료를 만화책으로 만날 줄이야.
어느새 10권, 11권도 나왔던데 빨리 읽어봐야겠다. 이후의 장그래의 모습이 기대된다.
2권
208-바둑에 그냥이란 건 없어. 어떤 수를 두고자 할 때는 그 수로 무엇을 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계획이 있어야 해. 그걸 ‘의도’라고 하지. 또, 내가 무얼 하려고 할 때는 상대가 어떤 생각과 계획을 갖고 있는지 파악해야 해. 그걸 상대의 ‘의중’을 읽는다라고 해. 왜 그 수를 거기에 뒀는지 말할 수 있다는 건 결국 네가 상대를 어떻게 파악했는지. 형세를 분석한 너의 안목이 어떠했는지를 알게 된다는 뜻이야. 그냥 두는 수라는 건 ‘우연’하게 둔 수인데 그래서는 이겨도 져도 배울 게 없어진단다. ‘우연’은 기대하는 게 아니라 준비가 끝난 사람에게 오는 선물같은 거니까.
254-바둑판 위에 의미없는 돌이란 없어. 돌이 외로워지거나 곤마에 빠진다는 건 근거가 부족하거나 수 읽기에 실패했을 때지. 곤마가 된 돌은 죽게 두는 거야. 단, 그들을 활용하면서 내 이익을 도모해야지. 전체를 보는 거야. 큰 그림을 그릴 줄 알아야 작은 패배를 견뎌낼 수 있어.
*곤마 : 바둑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돌
3권
224 - 기력차가 있는 바둑에서, 하수는 흑돌을 쥐고 선수를 두죠. 먼저 둡니다. 더 낮은 하수는 접바둑이라고 해서 8점, 4점을 먼저 두고 시작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바둑에선 하수가 고수와 마주할 때 급을 맞춰줍니다. 그런데... 사회에선, 고수를 상대로 신입사원이 접바둑을 둡니다. 고수가 이미 4점, 8점, 아니...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백돌을 깐 곳에 들어가는 거죠. 그런데 더 무서운 건... 신입사원, 흑돌의 규칙은 바뀌지 않는다는 거죠. 덤을 남겨야 합니다.
4권
76 - 평생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되거든 체력을 먼저 길러라. 게으름, 나태, 권태, 짜증, 우울, 분노 모두 체력이 버티지 못해. 정신이 몸의 지배를 받아 나타나는 증상이야. 네가 후반에 종종 무너지는 이유, 데미지를 입은 후 회복이 더딘 이유, 실수한 후 복귀가 더딘 이유, 모두 체력의 한계 때문이다. 체력이 약하면 빨리 편안함을 찾게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인내심이 떨어지고 그 피로감을 견디지 못하게 되면... 승부 따윈 상관없는 지경에 이르지. 이기고 싶다면 충분한 고민을 버텨줄 몸을 먼저 만들어.
‘정신력’은 ‘체력’이란 외피의 보호 없이는 구호밖에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