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노우맨 ㅣ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 7
요 네스뵈 지음, 노진선 옮김 / 비채 / 2012년 2월
평점 :
눈사람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건 ‘겨울’과 삐뚤빼뚤한 눈, 코, 입을 하고 있으면서도 친근하게 느껴지는 이미지이다. 요즘 계절이 겨울이다 보니 아이에게 ‘눈사람’이라는 동화책을 자주 읽어주는데 아이가 자면서 낮에 만들었던 눈사람에 대한 꿈을 꾸고 다음날 아침 신나는 마음으로 다시 눈사람을 찾아갔는데 모두 녹아버렸다는 내용이다. 어렸을 때 누구나 한번은 겪어보았을 만한 이야기지만 어른이 되어 동화책으로 만나도 그때의 서운함이 다시 느껴지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의 스노우맨은 동화책에 나오는 스노우맨과는 완전히 반대로 책 속의 등장인물들과 독자로부터 불안함, 두려움, 공포감을 자아낸다.
노르웨이 오슬로시에서 연쇄살인사건이 일어난다. 처음에는 납치되었다가 토막살인 되어 발견되는데 현장 주변에 항상 눈사람이 만들어져있다. 아무도 이게 연쇄살인일 것이라 예상치 않았지만 해리 홀레 반장은 직감적으로 연쇄살인임을 알았고 소규모로 팀을 꾸려 사건을 수사한다. 단서라고는 눈사람뿐이고 그밖에 살인범에 대한 단서와 증거는 아무것도 없지만 해리 홀레가 이 사건에 대해 강박적으로 집착하면서 점점 실마리가 풀려나간다. 사실 책의 초·중반부에 등장하는 어느 인물이 범인이 아닐까 예감했었는데 정답이었다. 나에게 추리 능력이 있어서 맞췄다기보다 그때까지 등장인물들 중에서 그 사람이 제일 평범해서 반전으로 혹시 이 사람이 범인이 아닐까 했었다. 피해자들은 불륜을 저질렀고 남편을 감쪽같이 속이고 내연남의 아이를 키우고 있었던 공통점이 있었는데 범인은 어떻게 피해자들의 남편조차 모르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사연이 있어서 범인 스스로 심판자가 되어 피해자들을 살해하는 것인지 밝혀지는 과정이 상당히 흥미진진하다. 자신이 저지른 살인에 대해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인생의 과업으로 여기는 모습과 경찰을 상대로 게임을 벌이는 대담함, 그 게임의 마지막을 자신의 자살로 장식하려는 모습은 전형적인 싸이코패스(싸이코패스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로 보였다. 처음에는 모든 것에 강박적인 해리 홀레의 모습이 비호감이었지만 읽다 보니 연쇄살인이 싸이코의 각본대로 흘러가지 않도록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그를 나도 모르게 열렬히 응원하고 있었다. 그가 옛 애인 라켈과 그의 아들을 살려서 너무 다행이다.
아무 생각 없이 책을 읽기 시작했던 터라 소제목 앞에 적힌 ‘1980년 11월 5일’, ‘1992년 11월 4일’, ‘2004년 11월 2일’ 이라는 날짜를 눈여겨보지 않고 읽어나갔는데, 다 읽고 나서야 그것이 과거와 현재의 살인사건이 이어지는 연결고리였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북유럽 작가의 책은 처음이라서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익숙지 않아 종이에 써가며 읽어야 하는 불편함은 있었지만 흡인력이 대단해서 600쪽이 넘는 분량을 단숨에 읽을 수 있었다. 해리 홀레의 이야기가 시리즈라는데 다른 책들도 읽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