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대성 이론과 만나는 과학교과서 ㅣ 상상력을 깨우는 초등 과.수.원 4
과학노리 글, 전국초등과학교과연구모임 감수 / 사이언스주니어 / 2015년 1월
평점 :
초등학교 다니던 시절 시험이 끝난 뒤 선생님과 같이 시험 문제를 풀고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딱 한 친구만 정답을 맞혔다면서 그 친구를 칭찬해주셨다. 알고 보니 반에서 줄곧 1등을 도맡아하던 친구를 비롯한 모두가 오답을 썼던 것이다. 그 문제의 정답이 ‘블랙홀’이었다. 선생님께서 그 친구에게 어떻게 정답을 알았느냐고 묻자 집에 있는 만화로 된 과학책에서 보았다고 했다. 그때 친구의 말을 듣고 나도 블랙홀에 대한 과학책을 읽어봐야지 하고 생각했었는데 서른이 넘어서야 읽게 되었다.
워낙 이런 분야에 무지하고 관심이 없었기 때문인지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은 있지만 그게 무엇이고 블랙홀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다. 그 외에도 책을 읽는 내내 지금까지 살면서 영화나 소설, 혹은 어렸을 때 교과서에서 보고 그동안 잊고 살았던 과학에 관련된 단어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런데 그때는 그렇게 지루하고 어렵고 재미없던 내용들이 이제 와서 읽으니 왜 이리 재미있던지.
우주는 137억 년 전에 생겨난 ‘빅뱅’이라는 큰 폭발로 인해 시간과 공간이 생기고 폭발로 만들어진 에너지가 변해 물질이 태어났다고 한다. 인간의 수명은 이제야 100세 시대에 들어섰고 겨우 30년 조금 넘게 살아온 나로서는 사실 137억 년이라는 시간 개념 자체가 크게 와 닿지도 상상도 안 된다. 책을 통해서 본 우주의 모습은 무척 신비롭고 아름답게 보이는데 사실 별들의 충돌, 폭발, 죽음, 합병, 탄생 등 끊임없는 변화가 계속되는 곳이라니 놀라울 뿐이다. 우주의 기원과 천문학의 발전이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과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 중력이라는 것은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지는 힘이라는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그것이 지구뿐만 아니라 우주를 지배하는 강력한 힘이라는 것도 처음 알게 되었다. (이 세상엔 내가 모르는 게 너무 많다. ㅠㅠ) 블랙홀과 화이트홀, 웜홀의 개념도 쉽고 재미있게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웜홀 이론은 시간여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인지 실제 가능한 날이 빨리 왔으면 하는 기대도 되었다.
이 책은 초등 수학, 과학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과 연구를 하시는 선생님들의 모임인 과학노리에서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졌다. 그래서인지 이런 분야를 전혀 모르고 관심도 없던 나조차도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었다. 책의 서문에 ‘단순히 교과서의 지식만을 머릿속에 채워 넣고 우쭐대는 키만 큰 거인이 아닌 새로운 미래를 꿈꾸는 진정한 거인으로 성장해야 합니다.’라는 글이 실려 있다. 선생님들의 바람처럼 학생들이 이 책을 읽고 나면 광활한 우주에 큰 호기심과 의문을 가지고 어린 과학자의 꿈을 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