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을 만들다 - 특별한 기회에 쓴 글들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희정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은근히 고집이 있는 편이라 평소 누군가에게 잘 설득되는 편이 아닌데 책을 읽을 때는 그 작가의 생각과 주장에 많이 공감하고 동화되는 편이다. 스스로 보통 사람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어떠한 것에 대해서 깊이 공부하고 성찰하고 깨우친 사람들의 생각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움베르토 에코의 ‘적을 만들다’를 읽기 전부터 나는 이미 에코가 어떤 이야기를 하든 모조리 받아들이고 설득되겠다고 각오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소설 '장미의 이름'을 읽다가 포기한 기억이 있기에 이 책을 대하는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았다.

  책 속에는 그가 간담회나 학회, 강연, 잡지 등에 기고한 14편의 글들이 실려 있다. 그런데 14편의 글들이 담고 있는 자료는 기본적으로 중세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고, 그의 지식 또한 너무나 방대해서 한 번만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면이 있었다. 여유를 갖고 다시 한 번 책장을 넘기자 그제야 에코가 해주는 이야기를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었다. 서양사와 종교에 약한 나의 한계로 여전히 이해 못하는 부분이 많았지만 말이다.

내가 흥미롭게 읽었던 것은 '상상 천문학', '속담 따라 살기', '섬은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다. 고대 서적에 실린 세계지도에 기초한 작가의 무한 상상력에 빠져들 수 있는 시간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이런 내용의 글을 좋아해서인지 지리학이나 천문학에 무지하지만 이 세 편의 글은 어렵지 않게 읽어 내려갈 수 있었다.

그리고 관심 있게 읽었던 것은 '적을 만들다', '보물찾기', '천국 밖의 배아들', '검열과 침묵', '위키리크스에 대한 고찰'이다. 이 글들을 읽으며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 문제를 직시할 수 있었고 잠시나마 많은 생각에 잠겼다. 가장 관심 있었던 글은 책의 제목이기도 한 '적을 만들다'와 '검열과 침묵'이었다. '적을 만들다'에서는 이름과 대상만 달랐을 뿐 우리에게는 항상 적이 있어왔고 적을 만들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라는 것에 많이 놀랐다. 그리고 적을 멀리서 찾을 필요 없이 우리들 서로가 적이고 지옥이라는 그의 마지막 문장에 반기를 들어 올릴 수 없을 정도로 힘이 쭉 빠지고 소름이 끼쳤다.

'검열과 침묵'에서는 소음이 사건보다 더 큰 소리를 내서 사건의 본질을 흐리고 집중할 수 없게 만든다는 것과 소음은 은폐와 같다는 것을 알았다. 이 글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언론에 대해서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온갖 종류의 정크 기사를 창출해서 국민들의 눈과 귀를 막고 있는 그들이 하루 빨리 정부의 앵무새에서 벗어나 제 기능을 찾길 바라는 마음이다.

여태껏 살면서 이런 생각들을 깊게 생각해본 적이 한 번도 없었고, 중세 철학자나 신학자의 이름과 그들의 주장이 낯설어서 글의 내용 자체가 나와 멀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래서 14편의 글을 모두 읽고 나자 마치 전쟁 같은 독서를 한 기분이었다. 그러나 에코가 아니었다면 어디서도 접하지 못했을 글들을 모두 읽고 나자 매우 뿌듯했고 나의 쪼그라든 뇌가 조금씩 부풀어 오르는 것을 느꼈다. 아쉬운 점이라면 나의 한계로 에코의 글들을 온전히 내 것으로 소화시키지 못한 부분이다. 한 번 읽고 말 게 아니라 여러 번 읽어야 글들의 진가를 제대로 알 수 있을 것 같다. 여하튼 그의 통찰력과 그것을 글로 풀어내는 그의 능력이 새삼 대단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열린책들 독자 서평단 3기◀

이 책은 출판사의 제공으로 읽고 남긴 리뷰임을 밝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