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의 현상학 우리 시대의 고전 13
메를로 퐁티 지음, 류의근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 수 없는 번역본. 불어가 안된다면 Donald A. Landes의 영어 번역본을 보자.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49172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티나무 2022-03-23 1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불어가 안 된다면‘

이 한마디에, 봉주르, 뚤레주르 밖에 모르던 제가 불어판을 사서 필사하면서 읽고 있습니다. 가벼운 조언, 엄청난 반향

가시광선 2022-03-23 13:29   좋아요 0 | URL
저는 불어가 안돼서 영어번역본 봐요 ㅠㅠ 불어 공부하시면서까지 보신다니 존경합니다
 
게임 경제학 GAMIFICATION
이노우에 아키토 지음, 이용택 옮김 / 스펙트럼북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게임화)에 대한 훌륭한 입문서이다.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의 요소들을 도입해 인간의 행위를 동기화(motivation; 동기부여)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커피숍에서 종이컵 폐기량을 줄이기 위한 '카르마 컵(karma cup)'게임 같은게 게이미피케이션의 사례가 될 수 있다(p.52).(https://www.jovoto.com/projects/betacup/ideas/4751)


1. 우선 칠판을 가게 앞에 둔다.

2. 자신의 머그잔을 가져와서 사용한 손님이 있으면 칠판에 하나씩 체크한다.

3. 머그잔을 사용한 열 번째 손님에게는 무료로 커피를 제공한다.

4. 머그잔을 사용한 스무 번째 손님에게도 무료로 커피를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열 명마다 무료 커피를 제공한다.


카르마 컵 게임을 시행하는 커피숍에 들어간 손님은 자기만의 머그잔을 가지고 들어가기만 하면 10분의 1의 확률로 무료커피를 마실 수 있다. 이처럼 당첨의 행운을 기대하는 기분을 즐길 수 있게 만드는 게임의 요소들은 손님들로 하여금 개인 머그잔을 사용하도록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은 외발적 동기부여(extrinsic motivation; 외부의 대가 때문에 행동을 일으키는 것)와의 경계선에 있는 요소(보수)를 추구하면서도 내발적 동기부여(intrinsic motivation; 스스로 자신의 흥미나 의욕을 자극해 행동을 일으키는 것)를 구동시키는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p.48).


게이미피케이션은 특히 요즘 스마트폰과 SNS가 보편화되면서 이로부터 수익창출 모델을 만들어내기 위한 방법론으로서도 주목받는 듯하다.

이용자들의 행동이력이 정량화가능하다는 점, 빠른 피드백 등의 요소들이 게이미피케이션을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책은 쉽게 쓰여져 있으면서도 게이미피케이션의 이론과 실천, 쟁점들, 주의할 점 등이 나름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입문서로 탁월하다.

'컴퓨터'가 자주 '컴퓨커'로 오표기된 점은 옥에 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미디어의 철학
마크 포스터 / 민음사 / 1994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원 제목은 <정보양식론(The Mode of Information)>이다.

원서가 1990년에 출간되었고, 국내에는 1994년에 번역되었으니 꽤나 발빠르게 번역된 셈인데, 꽤 잘 쓰여진 책이다.

아무래도 오래된 책이라 언급되는 사례들은 올드한 면이 있지만 사례들을 분석해 추출한 의미는 결코 올드하지 않다.


마르크스가 생산양식을 통해 사회구성체를 파악했다면, 오늘날 새롭게 출현한 현상들을 정보양식을 통해 보면 어떨까?

이 책에서 말하는 정보양식은 특정 사회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미디어에 초점을 맞춘다.

주체가 커뮤니케이션(언어)의 행위와 구조 속에서 구성된다는 구조주의적 논의의 연장선 상에서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이 구어를 매개(media)로 이루어지는가, 문자를 매개로 이루어지는가, 전자기기를 매개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정보양식의 단계를 이루고, 각각의 정보양식을 조건으로 새로운 주체를 구성한다고 본다. 

그런 와중에 이 책의 미덕은 총체화하는 관점을 버리고 정보양식 개념을 어디까지나 문제 탐색적인 가치를 가진 이론적 구성물로서만 다루려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1장에서 다니엘 벨의 탈산업사회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총체화하는 이론적 관점과 단절한다(그리고 행위모델에 기반한 기존의 사회이론들을 기각하고 언어적 메커니즘을 비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언어모델 기반의 이론을 요청한다. 정보양식론은 이러한 요청 하에 등장한다). 각 정보양식의 단계들은 어디까지나 새롭게 등장하는 흐름들을 포착하기 위해 도입된다. 따라서 기존의 단계를 대체하는 진화론적 관점과 아무 관련이 없으며, 새롭게 등장한 정보양식은 기존의 정보양식과 공존한다. 


저자는 특히 후기구조주의자들의 이론적 논의들을 소환하여 전자기기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정보양식을 해석하는 전략을 취하는데, 2~5장은 구체적으로 이를 구성하는 네 가지 새로운 '언어들'을 다룬다.

2장은 보드리야르의 논의를 가져와 '텔레비전 광고'를 해석하고, 3장은 푸코를 소환해 '데이터베이스'를, 4장은 데리다를 끌어들여 '전자 글쓰기'에 대해, 5장은 리오타르의 논의로 '컴퓨터 과학'을 다룬다.



차례

서장 사물없는 말

1장 탈산업사회의 개념: 벨과 수사학적 논리의 문제

2장 보드리야르와 텔레비전 광고: 경제의 언어

3장 푸코와 데이터베이스: 참여 감시

4장 데리다와 전자 글쓰기: 컴퓨터의 주체

5장 료타르와 컴퓨터과학: 포스트모던 정치의 가능성

해설-마크 포스터의 정보양식론에 대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
김은주 지음 / 에디투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례 

장차이와 윤리학 

⇒ 1장 차이와 윤리학



p.13 

특히 이분법의 논리는 차이를 동일성이 아님, 본질(A)의 대립항인 비본질(not A)이자 동일성의 부정을 지시한다.

⇒ 특히 이분법의 논리는 차이를 동일성이 아님, 본질(A)의 대립항인 비본질(not A)이자 동일성의 부정을 지시하는 것으로 본다.



p.35 

이러한 스피노자의 자연은 양태와 별로도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없는 실체이며 

⇒ 이러한 스피노자의 자연은 양태와 별도로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없는 실체이며



p.82 

이것임으로서 헥세이티는 변용이 일어나는 

⇒ 이것임으로서 엑세이테(위에서 엑세이테로 표기)



p.85 

신체의 개체성에 대한 정의에서 입자들의 빠름과 느림의 관계인 위도에 관한 논의는 

⇒ 신체의 개체성에 대한 정의에서 변용들이 매순간 일으키는 내포적 상태인 위도에 관한 논의는



p.87 

하지만 여전히 중심으로 수렴하는 뿌리의 통일성은 일종의 가능성으로 여전히 존속한다. 

⇒ 하지만 중심으로 수렴하는 뿌리의 통일성은 일종의 가능성으로 여전히 존속한다. 



p.95 

운데 이 책은 특히 동물-되기와 소수적인 것-되기에 착목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 이 운데 이 책은 특히 동물-되기와 소수적인 것-되기에 착목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p.129 n16 

엘리자베스 그로츠, 『뫼비우스 로서 몸』, 35쪽. 

⇒ 엘리자베스 그로츠, 『뫼비우스 로서 몸』, 35쪽. 



p.185 

긍정의 윤리학에서 오히려 보살핌은 타자와 관계 맺으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타자와 연결되어 그 역량을 강화키는 능동성을 창출하려는 관계에 힘 부여하는 되기이자, 힘기르기로 적극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 긍정의 윤리학에서 오히려 보살핌은 타자와 관계 맺으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타자와 연결되어 그 역량을 강화시키는 능동성을 창출하려는 관계에 힘 부여하는 되기이자, 힘기르기로 적극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총서 23
이남인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상학에 대해 잘 모른다면 장담컨대 이 책으로 시작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