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 나는 재미있게 살기로 했다
이서원 지음 / 나무사이 / 2024년 5월
평점 :
'나만의 이유'와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멋지다'고 말해주는 표제가 눈길을 사로잡는 책, 『오십, 나는 재미있게 살기로 했다』를 읽었다.
100세 인생을 논하는 지금, 오십은 딱 절반이다. 지나온 절반의 좋았던 부분을 상기시키고, 나머지 절반 또한 유쾌하게 보내기 위해서 잠시 멈춰, 자신을 즐겁게 했던것들과 앞으로 즐겁게 해줄 수 있는 것들을 잘 파악해야 한다고 책은 말하고 있다.
1장에서는 버킷리스트 작성하기, 2장에서는 좋았던 것/좋아하는 것들을 생각하기, 3장에서는 취미생활리스트 작성하기, 4장에서는 함께하면 좋은사람들 떠올리기, 그리고 마지막에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My Favorite list)'을 적어가며 생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책이 알뜰살뜰히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생각들을 적어나가기 위해서 몇가지 마음의 상태를 점검해 보아야 하는데, 첫번째는 살면서 생기는 '트라우마'와 '상처'라는 열차가 지나가도록 기다릴 것. 몇번을 지나가도 매번 통과되기를 기다렸다가 지나가는 열차를 보며 자기 자신에게 다정하게 말을 걸고 올라오는 감정을 당연하다가 여겨주며 인정해 줄 것 이다.
둘째는 '현재를 살 것'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과 마주하는 것을 즐거워하고 자기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것이다. 몸과 마음 모두 세심하게 관찰하여 돌보는 것이다. 감사일기(기념일기)는 '오늘'의 감사함을 기록하며 자신의 존재를 해옥하게 만들고, 배움일기은 스스로의 지금을 점검하게 만들어 겸손하고 성숙하게 성장시킨다. 마지막으로 자신에게 편지쓰기는 스스로에게 위로와 칭찬, 격려의 말을 건네는 것이다. 이렇게 꾸준히 현실에 충실하고 자신에게 하루하루 친절하면 내면에서의 기쁨과 즐거움이 새어나오고 그렇게 타인의 행복도 빌게되어 저절로 친절하게 되어진다.
그리고 비슷한 맥락에서 '잘 울어야 잘 웃을 수 있다'는 말도
'열심히 일하기 위해서는 잘 쉬어야 한다'는 말도 잊지 않는다.
그러다 후반부에 본격적으로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는 질문에 대답해야 하는 시간이 찾아온다. 이 질문에 하나씩 대답하다보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인생의 순위, 가치관, 성취감등에 대해 한발자국씩 더 가까워 질 수 있다.
-좋은 의도가, 최선의 노력이 꼭 좋은 결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할지언정 내게 있었던 일 중에 살면서 이거 '정말 잘 했다' 싶은 일은?
-내게서 '이것'만큼은 '1순위'라 아무리 돈을 써도 아깝지 않은 것은?
-나의 어떤면을 알아봐주길 바라며, 그렇기에 다른 사람에게 들어서 가장 '기분 좋은 말'은?
-내가 생각하는 관계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이며,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갖는 공통점은?
"재미있게 살겠다는 것은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대한 답이다."
재미있게 살겠다고 결심한다고 재미있게 사는게 아니다. 재미와 행복은 목적이 아니라 결과이기 때문이다. 하다보니 재미있고, 하다보니 행복한 것이지 행복하자고 힘준다고 행복해 지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재미있게 산다는 것은 다른사람의 욕구를 무시하고 나만의 쾌락을 느끼며 사는 것을 말하는 것 또한 아니다. 누구에게도 해를 입히지 않는 것을 전제로 그 위에서 무엇에도 통제받지 않고 내 마음가는대로 사는 것이다. 나의 생각과 행동에 내가 흔쾌해지는 일상을 사는 것이다.
"내 묘비명에 적고 싶은 한 문장
'이번 생은 요기까지 (깨닫고 갑니다)'"
결국 생은 내가 경험하고 느낀 것 안에서만 인지하고 깨닫고 가는 것.
'이번 생에서 깨달은 것은 여기까지 입니다. 나머지는 다음생에 이어가겠습니다.'
이번 생에선 전 이만큼 즐겼고 저만큼 아픔이 있었기에 딱 여기까지만 깨닫고 갑니다.
좋아하는 것 리스트 작성과 남은 생의 버킷리스트 작성, 그리고 묘비명까지 나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완벽한 질문들을 해주는 책, 『오십, 나는 재미있게 살기로 했다』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