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랭면 (여름 리커버)
김지안 지음 / 미디어창비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 마을 사람들이며 모든 가축들이 그칠줄 모르는 더위에 지쳐있는 모습으로 책은 시작한다. 마을의 김낭자, 이도령, 박도령은 노는 것을 제일 좋아하던 삼총사였는데 '절대로 녹지 않는 투명하고 시원한 신비로운 얼음'이라는 것이, 아홉마리의 호랑이들이 있다는'구범폭포'라는 곳에 있다는 서책을 발견하고, 이를 찾으러 산넘어 물건너 모험을 시작한다.
모험 중 위험에 처한 새끼 고양이(막내 호랑이)를 도와준 일을 계기로 호랭면도 얻어먹고 찾고있던 신비한 얼음도 잠시 선물로 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 삼총사는 마을에 잔치를 벌려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얻어먹었던 시원한 냉면을 맛보게 해주며 더위를 물리치는 내용이다.

7월 중순에 시작하여 10일간격으로 있는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의 삼복(三伏)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더운 때이기도 하다. 너무 더워 식욕이 떨어지고 기력이 약해지는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삼계탕, 추어탕, 장어 등의 보양식을 먹는 기간이기도 하다. 복날에 가족들과 나눠먹는 음식들은 풍성한 건강과 행운을 상징하며 그렇게 구성원들에게 서로의 복을 빌어주는 시간을 갖는다. 이렇듯 복날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로 가족들이 서로를 소중히 여기고 연대감과 고마움, 중요함을 다시금 느끼며 관계를 돈독하게 다지는 시간이 되기도 한다.

때문에 이 책에서도 '복(伏)날의 음식'을 '복(福) 그릇'에 담아 '함께' 복받으며 '더위(라는 곤경)'를 극복해내려는 마음을 담으려는 듯 보인다.

고맙습니다. 호랑이님. 얼음 잘썼어요.


그리고 가장 좋아하는 마지막 장면. 다시금 '선의'를 당연히 여기지 않고 고마움을 표현하며 되돌려주는 장면. 그림책과 청소년 소설에서 가장 좋아하는 키워드인 '호의의 연대'가 실현되는 장면이기도 했다. 선의와 호의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이어지는 이 장면이 가장 좋았다.

뜨거운 한낮의 태양으로 지쳐있던 마을에 한바탕 호랭면을 선사하여 시원하고 선선한 여름 밤으로 만들어주고 유유히 돌아가는 호랑이들의 모습이 담긴 맨 앞장과 맨 뒷장은 완벽한 기승전결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