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반짝이는 정원
유태은 지음 / 미디어창비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디어창비 에서 세상 모든 어린이에게 보내는 초록빛 러브레터의 그림책을 펴냈다. '뉴욕 타임스 올해의 우수 그림책' 선정 작가인 유태은 작가가 실제로 아름다운 정원이 있었던 집에서 살면서 할아버지가 정원을 정성스럽게 가꾸던 유년시절의 기억이 담긴 '자전적인 그림책'이기도 하다.

작가는 미국에서 태어나 이 정원이 있는 집에서 풀과 꽃과 나무들과 강아지와 고양이와 함께 증조할아버지와 할머니, 할아버지와 할머니, 엄마와 아빠, 형제들이 모인 대가족 집에서 자랐다.


이 책에서는 할아버지 정원에서 식물들과 함께 큰 사랑을 받는 손녀딸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계절에 따라 만개하는 꽃들이 각기 달라 늘 표정이 바뀌는 정원처럼 손녀의 자라남과 세월이 흐르면서 맞이하는 변화들을 각기 다른 식물에 비유했다.


물뿌리개도 혼자 들 수 없을만큼 '새싹'처럼 작았을때, 아주 큰 정원이 있는 집에서 흙냄새와 풀냄새를 맡으며 할아버지가 콧노래를 부르며 보살피는 식물들과 함께 자랐던 손녀는 정원을 좋아하는 할아버지가 좋았다. 사랑하고 정성을 다하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지켜본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그런 모습을 닮게 되기 마련이다.

비록 물을 줄 순 없지만, 물을 주는 할아버지를 그렸고, 그런 할아버지의 물을 받는 화분을 그렸다. 이 추억의 장면은 흙냄새, 물냄새, 할아버지의 콧소리, 꽃내음, 놀아달라고 재촉이는 반려견, 산들바람, 햇빛, 사각거리던 스케치북 소리까지 모든 것이 포근하게 남게된다.

할아버지가 물을 주고 나면 이제 손녀를 돌본다. 산들바람이 부는 가운데 노곤한 기운에 반려견은 잠들어 있고, 꽃과 벌레와 곤충들이 한가롭게 노닌다. 할아버지는 자신이 돌보는 식물들을 알려주고 싶은건지 식물에 관한 책을 읽어주신다.

함께 책을 보며 가장 좋아하는 식물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두 꽃의 개화시기는 가정의 달이기도 한 5월이다.

손녀는 부귀영화, 행복한 결혼, 열렬한 사랑의 꽃말을 지닌 화려한 '모란'꽃을,

할아버지는 순수한 열정과 사랑의 꽃말을 지닌 우아하고 청초한 '난초'꽃을 좋아한다. 좋아하는 것들을 공유하는 시간은 중요하다. '그것'들을 말하는 순간, 동시에 말 한 '사람'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제 '그것'은 곧 '그 사람'이 되는 마법에 걸리게 된다.

손녀는 좋아하는 할아버지를 그려드렸고, 할아버지는 손녀가 좋아하는 '모란' 화분을 선물한다. 이제 할아버지에게 모란 꽃은 손녀딸 그 자체이다. 그리고 손녀딸에게도 모란 꽃은 할아버지 그 자체가 된다. 꽃을 보면 떠오르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이 꽃이 되어 곁에 머물고 있다는 착각마저 일으킬만큼 푹 빠진다.


이후 '모란'이 화분을 벗어나야 할만큼 크게 자랐을때는, 물뿌리개를 혼자 들어 물을 줄 수 있을 만큼 함께 훌쩍 자랐다. 


'해바라기'만큼 할아버지보다 훌쩍 키가 자랐을땐, 할아버지 짐도 들어들이고, 이별, 학업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몇가지 화분만 들고 작은 집으로 이사하게 된다. 


'나무'만큼 자라나 자신만의 울타리를 만들어 낼 수 있을 나이가 되었을 땐, 독립을 하게 된다. 자신만의 정원을 만들 수 있는 시기가 되었고 그렇게 세월이 흘러 자신만의 가족을 만들어 자신의 '딸'이 아직 '새싹'처럼 작을 때, 할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더 작은 집에서, 더 작아진 할아버지지만 여전히 손녀가 좋아하던 꽃을 준비해두었던 할아버지는 손녀에게 주었던 사랑이 가득 담긴 화분을 증손녀에게 선물한다.


할아버지는 손녀가 다시 '새싹'만한 증손녀를 데리고 올만큼 자라도 아직도 손녀가 '새싹'만할때 그려줬던 그림을 보물처럼 액자에 보관하고 있다.

손녀 역시도 그것을 알기에 새로운 식구가 된 반려견과 할아버지가 함께 있는 새로운 그림을 선물해 주었다. 또다른 새로운 식구인 '증손녀'와 함께.


증손녀는 그 사랑을 이어받아 물뿌리개를 혼자 들어 물을 준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이 마지막 장면이다.

엄마가 좋아한다는 이유로 그의 딸에게도 사랑 담아 이어진 할아버지의 '모란'과, 홀로 물을 주고 있는 '손녀'와, 이제는 곁을 떠났지만 새롭게 손녀딸을 지켜주려 곁에 온 새'반려견'식구까지. 세대가 교체되도 남는 것들은 그대로 남겨져 이어진다.

사랑은 이렇게 정원을 떠나서도 계속해서 이어진다.


할아버지의 정원에서 '모란'은 손녀딸 그 자체였다.

그러나 손녀딸에게도 '모란'은 할아버지 그 자체였다.

'모란'화분이 곁에 있는 것 만으로도 할아버지가 곁에 있는 것처럼 든든했다.

뿐만 아니다. 길을 걷다가도 할아버지가 좋아했던 '난초' 향기를 맡는것 만으로도 함께했던 그 시절의 향수가 찾아와 위로 받는다. 어지러운 도시 '속'에 있어도, 어지럽혀진 '방'안에 있어도 할아버지는 늘 곁에서 위안을 준다.

'사랑'과 '그리움'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이들의 각자의 '방'을 들여다 보면 된다.

정원이 사라졌어도 정원처럼 느끼게 한다.

손녀의 그림과 할아버지의 화분은 그들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게 한다.

살아가는 것이 '끊임없는 변화에 적응하며 새로운 길을 나가는 것이 삶의 과정'이라고 하지만 사랑받은 기억, 사랑하는 사람과의 추억, 그런것들이 살게 한다.

'단단한 나만의 새로운 길'을 걸어가기 위해서는 내가 어디에 있든, 어떤 형태로든 사랑하는 가족이 곁에 함께 한다고 느끼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