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한 문장부터 - 10대를 위한 글쓰기 기본기 창비만화도서관 9
이강룡 지음, 국민지 그림 / 창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가 쉽게 틀리는 일상속의 맞춤법, 띄어쓰기에 대한 오류를 바로 잡아주고, 그렇게 바로잡은 표현법으로 멋진 한 문장을 써볼 수 있게 하는 <글을 잘 쓰기 위한 기본서>이다.


책은 제법 두껍지만, '국어'를 올바르게 표기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참을 수 없는 고양이 '고선생'이 함께 사는 식구들과 일상을 같이하며 자주 사용하는 대화나 채팅창 속에서, 혹은 자주 노출되는 광고나 포스터의 표기가 틀렸을 경우 이를 바로잡아주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대화속 에서 올바르지 못한 표현이 나올때마다 정색하거나 생활속 문구에서 오류를 발견할 때마다 빨간펜을 들고 고치는 '고선생'과 함께 지내다보면 자연스럽게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맞춤법과 표기가 틀렸다면 예쁜 옷에 얼룩이 묻어있는 것과 같다며, 더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올바른 표현은 필수라는 것이 그 이유이다.


여러분은 마음에 품고 있는 한 문장이 있나요?

다른 사람이 했던 말이나

여러분이 쓴 글 중에 마음에 드는 이야기를

한 문장으로 소개할 수 있나요?

내가 재미있게 본 영화, 감명 깊게 읽은 책, 가족·친구와 함께 했던 행복한 시간

이런 기억들과 생각을 흘려 보내지 않고 잘 붙잡아 한 문장으로 적어둔다면,

차곡차곡 한 문장으로 쌓아두면

현재는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새로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힘을 줄거예요.

이강룡, 『글쓰기는 한 문장부터』 中

책의 서문에 '한문장 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하고 싶은 말'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남기고 싶은 말'을 잘 요약해 보는 연습이 먼저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때문에 개인적으로도 요즘 다이어리에 하루의 한줄 남기기, 월에 한 단어 남기기 등으로 요약해보기를 실천하고 있기도 하다.


때로는 간결한 한 문장이 글의 주제를 더 잘 드러내기도 한다.

이강룡, 『글쓰기는 한 문장부터』 中


그래서 이 책은 한문장 쓰기에 대한 연습을 시켜주는 책이다.

때문에 하고픈 말을 '한 마디'로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올바른 표기법과, 한문장에 하나의 주제를 드러내는 방법을 알려준다.

  • 흥미를 유발하는 첫문장과 여운을 남기는 끝문장 쓰기, 제목에 주제 드러내기,

  • 반복과 모순은 지양하기, 불필요한 표현과 군더더기 덜어내기,

  •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다면 ~하고 ~하며 ~하다 라는 '열거'하기로 묶어보기,

  • 범위를 정하여 명확하게 전달하고 싶다면 A는 B다 로 '정의'하기,

  • 예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처럼~하다 로 '비유'하기(비유, 인용, 사례 들기),

  • 보다 뚜렷하게 구분하고 싶다면 ~는 ~하다면,~는 ~하다 로 '비교'하기,

  • 대안이나 확장된 사고를 전하고 싶다면 ~가 아니라 ~다 로 '전환'하기.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이어 나오는 한문장쓰기라는 이 3부의 내용이 이 책의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가 쓴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마지막 문장'을 쓰는 공식은 없다.

행복하고 멋진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이 많은 것 처럼.

이강룡, 『글쓰기는 한 문장부터』 中

우리의 시기시기마다의 한 문장들이 우리 인생의 책을 펴낸다고 하면, 나만의 자서전을 써 본다면

첫문장은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마지막에는 어떤 문장을 남기게 될까.

그렇게 생각하면 글쓰기에 대한 흥미와 신중함을 동시에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써 두었던 문장들이 우리의 흔들리는 마음과 용기를 붙잡아 줄거예요.

생각과 감정을 올바른 한 문장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연습하다보면

더 행복하고 보람있는 인생을 살아가기 위한 지혜를 얻게 되죠.

우리의 글쓰기가 방향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의 방향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강룡, 『글쓰기는 한 문장부터』 中

부디, 당신만의 올바른 문장을 흔들리지 않고 계속해서 만들어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