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베이터 - 디베이팅 세계 챔피언 서보현의 하버드 토론 수업
서보현 지음, 정혜윤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베이터(debater)는 격식을 갖춰 논의, 논쟁, 변론, 토론(debate)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9살때 호주로 이민을 간 작가는 언어적·문화적 장벽에 부딪히며 '자기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에 대해 깊게 생각해 왔다. 때로는 싸우고, 때로는 협상하고, 때로는 감정에 호소하기도 했다. 무심한 미소로 잠자코 '예스, 오케이'를 외치는 방법까지 시도해 본 후에야 긍정적인 태도를 활용하는 법을 찾는데가지 이르렀다. 자신의 유년기를 지배할 리듬을 비로소 찾은것은 학교 토론팀에 들어가게 되면이다. 호주 생활 2년차로 제법 익숙해진 5학년 무렵,  '반대'가 '불화'가 되지 않는 세상을 만나게 된다. '좋은 논쟁'거리를 찾아 '좋은 반대'를 이야기하기 위해 상대방의 말에 더 귀기울여 존중하는 이 '소통' 행위는 상당히 매력적이었다.

작가는 지역 토론대회 우승으로 호주 대표로 세계학생토론대회(WSDC)에서 우승한 이력에, 하버드대 상위 1%학생으로 세계대학생토론대회(WUDC) 재참가하여 다시 우승하게 되는 이력을 덧붙인다. 

한국인 최초 8'베스트 스피커(best speaker)' '인 그가 남긴 이 토론 기술에 관한 책에서는 1부에서는 토론의 다섯 가지 기술(주제선점, 근거 제시와 설득, 좋은 반대, 적절한 침묵, 감동 전략)을, 2부에서는 무례한 사람이나 가까운 사람들을 상대로 일상에서 접하는 '의견차이'를 토론의 기술로 삶에 적용하는 방법 등에 대해 언급한다. 

토론을 하려면 국내 외 상황들과 역사, 과학, 문화 등 광범위하고도 방대한 '정보'를 매번 습득하며 공부해야하고 나아가 그 정보에 자신의 의견을 덧붙일 줄 알아는 '기술'이 필요하다. 더욱이 토론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이기에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동기'가 있어야한다.
즉, 토론은 공감하고 경청하고 비판적이면서도 설득력을 갖춰야 하는 효과적인 교육 도구로 지식과 의견이 덧붙여진 종합 선물세트이다.
과정과 판단은 '공정'해야 하며, 반박하면서 더 나은 '의견'을 내야 하기에 더 나은 삶으로의 발전을 도모하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위한 길로 걸어간다.
‘잘 반대하는 기술’들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기술과 태도를 배우게 한다. 패배했다고 틀린 의견이 아니며, 이겼다고 반드시 옳은 의견도 아니라는 것을 가르쳐 준다. 실제 신념과 다른 편에서 생각해보게도 하고, 때로는 상대편의 입장에 설득당하기도 하면서 다양한 진실과 해결책들을 발견하머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는 행위다.

더욱이 토론은 '무엇을 말하는가'보다 '어떻게 전달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토론자가 된지 18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좋은 반대', '수준 높은 반대'라는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는 저자는 토론에 있어 부드럽게 공감하고 타협하는, 인간적인 교감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다. 토론이 계속되기 위해 발언권을 주고 다시 받고 그런 이해와 이견이 공존해야하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토론대회의 형식과 기능, 종류들을 실용적인 조언과 함께 만나게 될 것이며, 논쟁이라는 것이 사람들을 분열시키는 행위가 아닌 하나로 모은다는 사실을 깨닫게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