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살리는 옷장 -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한 고민
박진영.신하나 지음 / 창비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속가능한 패션이라는 뜻을 모아 NOT OURS를 런칭 및 운영하고있는 #박진영 디자이너와 #신하나 마케터가 쓴 #비거니즘 '실천'에 관한 이야기이다.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고 소유하고 싶은 마음은 자연스러운것이다. 하지만 어떤 물건들은, 가지고 나면 물건의 가격과 상관없이 오히려 마음이 가난해진다. 모든 것을 실용성과 품질로만 판단할 수는 없으며 싸고 유행하는 것이 무조건 나쁘지만도 않다. 그렇지만 잠깐 즐기고 버리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패스트 패션(인스턴트 패션)의 생산방식의 확산은 과도한 소비문화를 야기했다. 언제부턴가 '싼' 가격은 '착한' 가격이라고 불리기 시작했으며, 사람들은 '값싼 노동의 혜택'을 누리고 있었다는 것과 가죽, 모피, 울 등의 원단의 소재가 살아있는 '동물'이었다는 명백한 사실을 간과해왔다. 하나의 소재가 만들어지기까지 복잡한 과정은 우리가 전부 다 알 수는 없지만 이것을 만드는 과정이 환경과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을 기억한다면 앞으로는 그 재료가 달라 보이지는 않을까.

의류가 환경과 사회에 끼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알고 좀 더 주의를 기울인다면, 무결한 소비는 못하더라도 더 나은 소비는 할 수 있다. 소비자체만으로도 누군가에게 영향을 끼치고 누군가를 지원하고 있기때문에 소비에도 공부가 필요하다.



✔저렴한 옷을 자주 구입하기보다는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가끔 구입하는 것이 더 나은것처럼

✔지속 가능한 소재를 사용한 옷이 그렇지 않은 옷보다 더 나은것처럼

✔새옷보다 중고옷, 수선, 교환을. 수입한 옷보다 로컬의 옷을 구입하는 것이 나은 것처럼

✔옷을 사기 전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를 알아보는 것


과잉 생산과 과잉 소비의 악순환은 우리의 삶뿐만 아니라 지구 환경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중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쓰레기다. 옷을 만드는 일은 결코 쉽지 않고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지만 한번 만들어진 옷을 자연으로 되돌리는 일은 훨씬 더 어렵다. 따라서 물건을 버리지 않고 '최대한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좋은 방법은 '애초에 덜 사는 것'이다. 한번 들인 물건은 '책임감' 있게 써야한다.

정리의 신 '곤도 마리에'가 내세우는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라는 유명한 슬로건에서 "버려라"보다 더 중요한 메시지는, 물건은 '소유의 대상'이 아니라 '관계를 맺는 대상'이라는 것이다. 물건은 단순히 소비가 아니라 애정에서 비롯된 신중한 관계 맺기라는 것을 알고 물건을 구입하기 '전'과 물건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했다면 아마 가지고 있는 것들 중에 상당수를 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현대인에게 옷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싸고 흔해진 옷이 애정의 대상이 될 수는 있는 걸까?

과연 이 세상에 해를 끼치지 않는 생산이라는게 가능한 것일까?

우리의 삶 자체가 완벽하게 무해할 수 없는 것처럼 그것은 불가능한것은 사실이다.

그렇기에 작은 실천들은 더욱더 완벽해보이지 않고 되려 가치없는것으로 취급되어지기도 한다. 나름의 실천을 시작하려하거나 하고있는 사람에게는 무력감과 죄책감을 심어버린다. 실천은 본래 '도달'이 아닌 '추구'이고 우리는 모두 완벽할수 없기에 지금 위치에서 할수있는 것들을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세상을 바꾸는건 '그렇게 해서 되겠어?'라는 예리한 지적보다는 작고 담담한 실천일 것이다. 내가 나의 세계이고 모든 변화는 나로부터 시작되며 나는 이미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재생종이로 만들어진 이 책의 말미에 있는 문장 몇줄이 내 마음을 쏙 사로잡았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예리한 지적보다 작은 실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