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과 기분
김봉곤 지음 / 창비 / 2020년 5월
평점 :
품절


-가장 소중한 걸 잃고, 가장 바라는 걸 얻었어.

<시절과 기분> 앤드게임, 김봉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졌고,

그와의 일을 글로 써 '소설가'가 된

'지금'의 자신을 긍정하고 싶을 때 떠올리는 문장이다.

이제 그와의 일을 '글'로 쓴다는 것(문학)

이제는 홀연 마음이 '떠나버린 누군가를 대하는 기분'을 마주하는 것이었고,

결국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을 바꾸지 않았다.

그의 이름을 바꾸지 않는 것이었다.

-형섭

나의 첫 대뷔 소설 뿐만아니라 첫 단행본에서도 자신의 이름을 발견한다면

그는 어떤 기분일까?

그러나 아직은 자신이 쓴 글(문학, 소설)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든 시간(삶)속에 존재하는 사람이라는 걸 느낀다.

"문학 아닌 삶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 마는 것이다.

글을 쓰는 시간보다 살아야 하는 시간이 압도적이라는 것.

그것이 설령 사실이라 할지라도 아직은 굴복할 수가 없다.

그리하여 나는 그것을 알아야 겠다. 내가 무엇을 정말 쓰고 싶었는지를.

그때 내가 느낀 감정의 형태를

그와 나의 눈물의 이유를

나를 무너뜨린 마음의 정체를

되찾을 풍경과 열린 시간 속에 그의 모습을 나는 꼭 알아야 겠다.

아직은 삶의 시간에 질 수 없다.

<시절과 기분> 김봉곤

다시 한 번 내 시간 속에서 내 시간 속의 그를 다시 한 번 만나고 싶다.


김봉곤의 『시절과 기분』

이 소설을 읽기 전에 아주 짧은 사족을 얘기하자면 며칠전으로 거슬로 올라간다.

며칠전, 지인과 북카페에 갔을때 (물론 목적은 수다였지만) 카페의 책장에서 제목이 마음에 드는 책을 하나씩 골라 자리에 앉았다.

지인이 최은영의 『내게 무해한 사람』이라는 책을 선택했을때, 난 이미 예전에 읽었던 책이라 옆에서 신나게 스포를 해댔다.

"나 이거 읽을때, 중반까지 동성앤지 모르고 읽었잖아 ㅎㅎ"

책을 읽으면서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의 저변에 '사랑'하는 사람들은 이성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소설 속 두 사람이 만나고 사랑에 빠지고 헤어지는 무렵에 와서야 상대가 동성이라는 것을 인지했다는 것은 비단 이름이 중성적이기 때문만은 아니였다. 책 속 단편 「그 여름」과 「고백」 에서 여성 동성애자가 등장 했었고 그들의 연애사를 읽는 것은 낯선 경험이였다. 그러자 지인이 '그러고 보니 일전의 쇼코의 미소도 우정인지 연애인지 모르게 애매한 글이였잖아. 이 작가가 그런 글을 잘쓰나 보지.' 라고 답했다.

그게 고작 며칠전의 일이였는데.

이 책의 초반부터 너무나 당연하게 '이별'의 통증을 겪는 두 사람이 남녀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나는, 한참동안 책장을 넘기며 지나고 나서야 '아, 이 두 사람 남성 동성애자였구나' 라는걸 알게 되었다.

"내가 좋아하는 그의 억양, 키·몸무게·발사이즈까지 같았던 체형, 옷과 스타일을 항상 골라주어야 했던, 무던하고 무심한 타입이지만 과묵하진 않던, 나와 닮은사람.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헤어지고서도 이년을 더 함께 살아,

나와 오년을 함께 살았던 사람. "

이라는 부수적인 설명이 나올 때에도,

'응? 어떻게 남녀가 키,몸무게,발사이즈가 같을수가 있지?' 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어나갈정도로 편견은 이어졌다. 편견은 그 틀안에서 무너져 있는 디테일을 그냥 넘어가게 만들정도로 울타리가 큰 모양이였다.

심지어 책 속에서 '게이'라는 단어가 등장했을때도,

'아! 남자가 게이라는걸 깨닫고 여자를 떠났구나!'라는 바보같은 스토리를 그리고 있었던 것이다. 더더 뒤로 가서야 아차 싶었던 나는, 그 지점에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책을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이별한 두 사람은 모두 남성이다. 라는 지점에서 다시 시작한 글,

『시절과 기분』 이다.


우리는 '시절'에 대해 이야기해도

'기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진 못한다.

<시절과 기분> 앤드게임, 김봉곤

(익숙한 풍경) 시원했던 여름집, 물까지 얼어버렸던 추운 겨울, 꾸벅이던 아침, 각자의 어머니가 보내주신 밥을 먹었던 집, 기르던 강아지가 문지방을 다 갉아 놓은 집이 그 장막 너머에 있었다. 우산을 일층으로 던져주던 모습, 항상 내차지던 화장실 슬리퍼, 그를 배웅하던 현관 등이 그 너머에 있었다.

(익숙한 대답) 효효, 끼오옹! 컁캬아아앙- 미쳤돼지다 … 등

우리만의 유행어는 여전히 쓰면서도, '자기야'에서 '야'로 바뀐 호칭을 줄임말로 착각하는 일 같은건 하지 않는다.

우리가 연인이던 시절, '함께 살던 시절'의 바람이나 불행, 추억할만한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 할 수는 있어도 '사랑했던 우리'(의 기분)에 대해서는 마치 그랬던 적이 없었던것처럼 말을 꺼내지 않는다.

(그때의) '일상'에 대해 얼마든 말해도 좋았지만, 내가 너를 얼마나 '좋아'했었는지, 그때 네가 찾아와 얼마나 '기뻤'었는지, 사랑을 나눈 일이 얼마나 '짜릿'했는지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는 것이 우리의 불문율이었다.

사건만 남기고 감정을 제거한 선택적 추억이라는게 있을 수 있을까.

이쯤 되니 '시절'이라고 말하는 시간적 과거와

'기분'이라고 말하는 감정적 과거의 차이점을 조금은 알 것 같아서,

참으로 탁월한 제목이라고 생각했다.

그와 내가 연인이었던 시절을 지나,

연인이 아니었던 시절도 지나,

점차 친구라는 사실조차 희미해져갈 것임을.

이제는 그에 대한 글을 쓸 수 없음을,

그에 대한 글은 이번이 마지막이 될 것임을,

그러니까 앞으로 만나게 될 그는

소설이 될 수 없는 사람으로만 만나게 될 것을 예감한다.

<시절과 기분> 김봉곤

시절은 지나간다.

감정도 지나가는 것일까.

때때로 감정은 고여있는 것 같기도 하다가, 때때로 넘쳐나기를 반복한다.

감정이 지나갔다는 말은 써 본적이 없다.

아아, 그렇구나. 그래서 그 시절을 돌아볼 때의 감정은 그때마다 다르구나.

아무것도 아니였다가, 좋아보였다가, 서글펐다가, 그렇게 달라지는 구나.

이별을 겪었을때의 감정은 죽음을 받아들일때의 감정변화와 비슷하다고 했다.

부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분노하고, 협상하다가 절망하고, 이내 수용하게 된다 했던가. 그렇게 수용하는 듯 하다가 다시 부정하는 것으로 가는 건 아닐런지.

감정이 남아 있을땐 다시 시작하고픈 마음이 부풀어 올라 수용은 더더욱 힘들겠다.

" 나는 그에게 정말 많은 것을 받았고, 나 역시 그에게 많은 것을 주었지만

정작 자립을 가르쳐 주지 못한 자격 미달의 선생처럼,

좀, 실패한 사람의 기분으로,

그럴 필요도 없으면서 안타깝고 미안한 마음이 되어 … "

미운거 같다가, 미안했다가, 용기내려 하다가도, 이내 자신없어지고 마는.

감정은 그 시절 안에 있을 때도 마음대로 할 수 없더니

그 시절 밖에서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모양이다.

그럼에도 한 가지만은 분명하다.

잊혀지고 싶지 않다.

잊고 싶지도 않고.

그래서 애써 마지막으로, 딱 한 번만 더…


김봉곤 작가의 전작인 『여름, 스피드』 가 영화 Call me by your name 의 원작소설인 『그해 여름 손님』 의 제목과 비슷해서 일까, 같은 소재를 다루어서 일까, 어쩐지 자꾸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떠올랐다.

엘리오가 우는건 그 시절 때문일까, 지금의 기분 때문일까.

그건 모르는 일이다.

『시절과 기분』 을 읽다보니 김봉곤의 전작이 궁금해 졌다.

이번에 두번째로 등장한다는 이름을 첫번째 작품에서 찾기 위해서 였다.

김봉곤 작가를 몰랐다 하여 편견으로 읽었다고 했던가.

김봉곤 작가를 알았다 한들, 당연히 동성애 소설이겠지 하고 읽는것은 또 맞는건가.

그것 또한 모르는 일이다.

어쨌건 그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졌고, 그와의 일을 글로 써 '소설가' 되었다고 말하던 대뷔작 「Auto」 , 그리고 그 연장선인 「컬리지포크」 품을 찾아 읽어보니 반가운 이름이 나왔다.

-형섭 (그)

-쿠마 (그와 기르던 강아지)

그리고,

어느날 갑자기, "나, 이제 너를 사랑하지 않는다구." 라며 이별을 선사하는 연인.

그렇게 헤어지고도 이년을 더 동거했던 연인.

더 이상 사랑하지 않아- 라는 이별의 순간을 맞이하던 그들이 있었다.

툭, 내뱉는 이별의 말은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가 생각나게 한다.

갑작스럽고 일방적이라 받아들이기 힘들다.

'나를 당혹스럽게 만든 것은 나의 세계에, 사전에, 사랑하지 '않는'일은 없었다는 사실이었다. 사랑의 정의처럼 사랑 역시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사랑하지 않는 세계를, 그때의 나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렇게 '모르는 상태'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사랑의 글쓰기'를.


강렬했던 사랑이 지나간 뒤에 그 사랑의 대상에 대해 쓰기,

허무하고 진부한 연애사건으로 잘못 기억될 뻔했던 것을 사랑으로 다시 쓰기.

-나는 모르겠다, 나는 알고 싶다.

글을 쓰는 이유, 딱 두줄, 단순하고 자명했다.

시절과 기분은, 이별 앞에서도 사랑의 시간으로 걸어가는 길의 연장선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단순히 이별을 못받아들인다기 보다, 이 기분은 뭘까, 이별 한 뒤에도 사랑할 수 있는걸까, 그 시절이 아름다워서 못있는걸까 네가 여전히 아름다운걸까, 등을 끊임없이 물으며 시절과 기분에 다가서는 느낌이다.

우리에게 반짝임이 남았다면 그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나는 모르겠고 그러기에 더욱더 알고 싶어진다.

어쩌면 사랑은 영원히 정의되지 못한채 부유하며

말할 수 없음으로 남을지도 모른다.

혹은 그것을 느꼈다 라고 말하는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소설가는 그것을 보여주기 위해 책 한권을 써내며,

음악가는 음악을 만들고, 누군가는 그림을 그리고,

누군가는 춤을 추며 투박해지는 것에 저항한다.

<여름, 스피드> 김봉곤

아직은 삶의 시간에 질 수 없기에,

계속해서 저항하고 있는 느낌의 책, 『시절과 기분』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