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 민심을 얻는 왕도정치의 고전 명역고전 시리즈
맹자 지음, 김원중 옮김 / 휴머니스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철학의 과거와 오늘날 그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위 '공자와 맹자'는 여전히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물론 현대 국제화의 영향과 함께 나타난 유학의 쇠락...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전통적 예(禮)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으로 이하여, 분명 과거와 같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학의 본질 중 하나인 (올바른) '사회적 행동과 실천' 에 대한 이념과 학문적 접근(또는 정립)등이 만들어지고 또 계승되어 왔다는 것은? 이는 분명 맹자 또한 동양의 마인드를 만들어낸 핵심적인 인물이라는 평가를 더욱 확실시 하게 하는 증거가 되어준다고 생각한다.

세상에 횡행한 현실을 보면서 공자도 우려한 것처럼, 이단을 내치고 제후들에게 성현의 도, 즉 유가의 사상을 전수하려는 맹자의 다짐이 깃들어 있다.

해설

그렇기에 이 '맹자'의 내용을 접하다 보면 앞서 언급한 공자의 '왕도' 그리고 무엇보다 인의를 바탕으로 한 정치와 예의 필요성에 대한 많은 메시지를 접할 수 있다. 그야말로 이미 춘추를 지난 전국시대에 이르러서 '혼란의 와중 인간이 살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맹자는 공자를 시조로 한 '유학'의 근본을 설파하고 또 완성하는 과정을 겪었으며, 그 때문에 이 책은 '강병'과 '번영'을 목표로 하고, 더욱이 통치를 위하여 예의를 빙자한 위정자들을 향해서 실망하거나 비판적인 뜻을 비추어왔다.

때문에 '나'는 이러한 내용에서 두가지의 의문을 가진다. 먼저 공자의 시절 주나라의 제도와 법도 그 봉건제의 유지가 그나마 명맥을 이어가고 있었던 춘추를 지나, 이른바 패자(이익을 다투는)들의 시대가 도래했음에도, 맹자가 끝임없이 예를 통치의 근본이라 주장할 수 있었던 배경(또는 개인적 학문과 신념의 형성) 그리고 그 왕도가 당시 혼란의 시대 속에서 사장 된 것이 아니라, 사상적 발전을 거듭했을 뿐 만이 아니라, 후대 청나라까지의 주류로서 자리잡게 된 이유.

이에 어쩌면 오늘날까지 매우 당연하게 생각하는 선과 그를 향한 인간의 학문적 방향성, 그리고 소위 정치와 국가적 차원에서의 윤리를 향한 기준과 척도를 만들어낸 것에 대하여, 분명 맹자의 사상을 거친 유학의 역활이란? 그저 단순히 시대 속에서의 역경을 해결하는 것 보다는 보다 실천 철학에 기댄 윤리관을 완성하고, 더욱이 (해당 문명의) 정치적 '안정'을 완성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컸다.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