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 에블린 솔트는 CIA내 유능한 요원입니다. 북한 내 잡입해 공작을 펼치다 스파이라는 게 들통이 나 온갖 고문을 당해도 입을 열지 않을 정도로 자신보다 국가가 우선을 생각시하는 요원이죠. 그런데 그녀에게 참으로 황당한 일이 벌어지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한 러시아 스파이가 자수를 한다고 미국 CIA가 상주해있는 건물 안으로 들어오더니 미국 부통령 장례식에 참석할 러시아 대통령을 러시아 첩자가 암살할 것이라고 대뜸 말을 합니다. 그리고 그 첩자가 에블린 솔트 자신이라는 말을 남기고 유유히 사라져버립니다. 지금까지 미국을 위해 일해온 유능한 요원이 알고보니 러시아에서 심은 첩자였더라는 말로부터 이 영화는 본격적인 서막을 알립니다. 에블린 솔트는 자신의 능력을 이용하여 CIA건물 내 탈출하고, 자신을 잡으려는 동료들을 뒤로 한채 남편을 구하고 누명을 벗고자 여기저기 뛰어다닙니다. 과연 에블린 솔트는 러시아 이중첩자일까요? 아니면 누명이 씌운 CIA 요원일까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6299103592985.jpg)
주인공이 범인으로 몰려 쫓긴다는 설정은 여러 스릴러 영화에서 써먹은 단골 소재입니다. 특히 톰 크루즈가 출연한 <미션 임파서블>이나 <마이너리티 리포트>를 연상케하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영화에서는 누명 벗기 혹은 진짜 범인 찾기보다는 안젤리나 졸리가 펼치는 액션에 좀 더 초점이 맞추어있습니다. 안젤리나 졸리가 뛰고 도망가고 떨어지고 복수하고 등등 그녀가 보여주는 액션은 잘 짜여져있습니다. 그렇기에 안젤리나 졸리가 보여주는 액션 장면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녀가 자신을 잡으려고 하는 동료들을 피해 자신의 남편을 구하고 자신에게 이중첩자로 지목을 한 사람에게 복수를 하고자 고군분투하는 이야기에 숨을 죽이고 딴 신경을 쏟을 겨를이 없습니다. 그저 계속적으로 벌어지는 안젤리나 졸리의 액션에 빠져들 뿐이죠. 안젤리나 졸리가 아닌 다른 여배우가 이 역할을 맡았다면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안젤리나 졸리는 이 캐릭터에 딱 적합한 배우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이 영화의 이야기는 썩 잘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주인공 에블린 솔트가 러시아 스파이이거나 아니거나 두 가지 경우 모두 그녀가 보이는 행동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주변 동료들의 행동도 이상하기 짝이 없죠. 정보에 날고 긴다는 CIA가 단순히 그 러시아 스파이의 말을 액면가 믿고 그를 쫒기보다는 솔트를 쫒는다는 게 말이죠. 러시아 거물 스파이가 이중첩자를 지목했다 하더라도 지금까지 동료로 지내온 에블린 솔트보다 그의 말을 100% 신뢰하는 건 납득하기 힘든 일입니다. 아, 물론 삼국지의 계략 중 하나를 연상케하긴 합니다. 조조와 채모 이야기말이죠.
이 영화의 반전 또한 쉽게 유추할 수 있다는 것도 이야기보다는 액션에 더 재미를 느끼게 하는 이유입니다. 숱하게 나온 반전 영화의 공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진짜 범인은 누구일지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결국 러시아 이중첩자니 누명이 씌운 CIA 요원이니 하는 이야기 속 스릴보다는 안젤리나 졸리가 숨쉴틈없이 보여주는 액션이 볼거리입니다. 딱 그녀의 액션만 즐기세요. 그녀에게 누명이 씌워진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러시아 첩자인지 그건 머리 속으로 굴리지 마시고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