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종석의 문장 2 - 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란 무엇일까 ㅣ 한국어 글쓰기 강좌 2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4년 9월
평점 :
좋은 글을 써보겠다는 생각을 늘 하면서 살고 있다. 그러나 정작 나의 글쓰기는 나아질 줄을 모르고 요즘은 글을 쓰는 일 앞에서 주춤거리며 망설일 때가 많다. 서두는 어떻게 꺼내야할지 어떤 소재로, 또 마무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글 쓰는 일이 어렵게 느껴진다. 그런 내게 <고종석의 문장>이라는 책을 통해 나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해보고자 책을 펼쳤다.
아니나 다를까 ‘좋은 글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이 책은 시작된다. 일기조차도 자신이라는 읽을 대상이 있고, 모든 글들은 읽을 대상을 전제로 쓰여진다. 저자는 좋은 글이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문법적으로 명료해야하며 아름다운 글이라고 한다. 자기주장이나 자신의 생각을 늘어놓는 글이 어떻게 타인에게 공감을 줄 수 있을까? 그것은 자신이 먼저 공감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그러고 보면 글이란 자신과의 내적 소통의 길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명료하고 아름다운 글의 예를 책의 전편에 소개하고 있다. 한국문학 비평가였던 김현 선생의 <‘말들의 풍경’을 시작하며>를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글이나 말의 의미를 다시금 느껴보고 생각해보게 한다. ‘말들의 풍경’속에서 말은 저마다 자기의 풍경을 갖고 있으며, 보는 사람이나 보는 시각에 따라 변화를 한다. 읽는 사람의 의도와 생각, 느낌에 따라 말이 지닌 의미는 중첩되거나, 시간이 흘러 그 의미가 이동하는 변화라는 흐름 속에 있다.
저자를 통해 한 비평가가 남긴 글을 읽으면서, 새삼스럽게 내가 사용하는 언어나 글이 사회적인 구조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며 변화의 모습을 보이는 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말이나 글은 그 사람을 닮아 있다. 인생이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글이나 말은 바로 나의 분신과도 같아서 나의 중심에서 나오지만, 또 그것은 실체가 없고 변화하는 만물을 닮아있다.
‘글쓰기 직문직답’에 글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저자의 답변이 나와 있다. 저자는 그 힘듦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고 한다. 좋은 글 좋은 책을 많이 읽는 것이 도움이 되며, 생각하는 힘이 일종의 머리의 근력이라는 저자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항상 글을 쓰는 걸 즐기세요.’ 글을 쓰면서 자기의 생각이 정리되는 경험 역시 글을 쓰면서 얻게 되는 즐거운 기회이며, 자신이 글쓰기 아마추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아마추어란 프로보다 못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애호가를 뜻한다고 한다.
<고종석의 문장> 이 책은 수강생이나 청중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강의한 내용으로, 글을 쓰는 일에 어려움을 느끼는 누구나 저자의 조언을 만날 수 있다. 누구나 명문장을 쓸 수는 없지만 나도 글의 애호가이고 싶다. 좋은 삶을 위해 지식을 얻고 공감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으로 글을 쓸 때, 자신을 만나는 기분 좋은 일의 시작이 될 것이다. 자주 이 책을 읽어보면서 지침서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