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 류시화의 하이쿠 읽기
류시화 지음 / 연금술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류시화 시인의 ‘하이쿠 읽기’로 시인의 감성과 깊이 있는 해설은 시선을 뗄 수 없이 압도적인 책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 하이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눈에 익은 몇 편의 짧은 시들은 하이쿠 인줄 모르고 이렇게 짧은 시도 있구나 하면서 그냥 지나치는 정도였다.

 

그런데 하이쿠를 읽어보니 그 매력이 어마어마했다. 류시화 시인이 방대한 하이쿠를 번역한 이유가 있었구나 싶었다. 하이쿠란, ‘숨 한 번의 길이만큼의 시’라고 일컬어진다. ‘모습을 보이고 마음은 뒤로 감추라’가 하이쿠의 기본 원칙이다. 삶에서 얻은 순간적인 깨달음을 단어들 사이에 숨겨 놓는 시가 하이쿠이며, 하이쿠를 읽는 것은 그 숨겨진 것을 읽어내는 일이다. 단지 17자로 이루어진 이 하이쿠는 가장 짧은 형태에서 산보다 더 크고 웅장한 울림을 지니고 있었다.

 

특별히 바쇼, 부손, 잇소 같은 시인의 하이쿠는 감동적이었고, 눈을 뗄 수 없는, 숨이 막힐 것 같은 엄청난 시의 에너지를 담고 있었다. 단 열 일곱 자의 시가 있었다는 사실에 놀랐고 이 책을 통해 하이쿠의 역사를 알게 되었으며, 일본 문화와 시와 시인에 대해 알게 되었다. 책을 읽는 동안 하이쿠의 시인들은 구도자의 모습과 닮아 있고, 생과 사, 삶과 계절, 미물에 이르기까지 아름답고 절묘한 깨달음이 아주 일상적인 언어로 구사되어 있음을 보고, 하이쿠의 매력이란 이런 거구나 하며 이 책이 주는 깊은 매력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제목에서 느끼듯 독자들은 빛과 어둠의 조화, 하이쿠의 매력에 저절로 빠져드는 것을 느낄 것이다. 하이쿠는 5/7/5 조의 짧은 정형시에 섬광처럼 지나가는 삶의 진실에 대한 깨달음을 담고 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독자로서의 하이쿠 읽기에서, 나도 하이쿠를 써 볼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하이쿠에 매료됨을 느꼈다, 하이쿠의 세 가지의 원칙도 알게 되었다. 5/7/5의 음수율, 계어의 사용(계절을 상징하는 언어들), 그리고 끊는 말이다. 깊은 절제는 숨이 막힐 정도다. 그러면서 삶의 유머와 해학이 넘친다.

 

일본에서 유치원 아이부터 하이쿠를 외우는데 특별히 잇사의 작품이 가장 많이 애송된다고 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는 바쇼, 부손이라는 시인을 알게 되었는데, 잇사의 작품이 가장 가슴에 절실하게 와 닿았다. 잇사의 하이쿠는 전 세계 교과서와 동화책에 가장 많이 실리고 있다. 잇사의 하이쿠는 격식과 품위에서 탈피하여 달팽이, 파리, 벼룩의 친구가 되었고. 잇사는 ‘파리의 시인’, ‘개구리의 시인’, ‘벼룩의 시인’으로 불렸다고 한다. 보잘 것 없는 미물들에 대해 1천편이 넘는 하이쿠를 썼다고 하니 참으로 놀라운 하이쿠와 시인들이다.

 

잇사의 하이쿠다. <뛰어라 벼룩 / 이왕이면 / 연꽃 위에서> <비 내리는데 / 어딘가로 향하는 / 달팽이> <오는 반딧불이 / 내 오두막이라고 / 깔보는 건가> <내가 죽으면 / 무덤을 지켜 주게 / 귀뚜라미여> <죽이지 마라 / 파리가 손으로 빌고 / 발로도 빈다> <돌아눕고 싶으니 / 자리 좀 비켜줘 / 귀뚜라미>

 

하이쿠에서 이 세상 모든 존재의 소중함과 고귀함에 눈뜨게 된다. 세상에서 미천하고 천대, 버림받은 것이 평등하게 어울리고, 또 하나의 열린 아름다운 세상임을 발견한다. 다른 하이쿠의 스승들처럼 방랑 걸식하면서 고독의 극한을 시로 승화한 하이쿠의 귀재 ‘잇사’라는 시인을 만날 수 있어 행복하다.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생명의 음식처럼 사랑했던 하이쿠의 시인들과, 시 속에서 비쳐 나오는 순수와 밝음의 빛을 느낄 수 있었다. 하이쿠는 재미있고, 읽는 동안 나의 마음마저 맑게 정화되는 기분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