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2 :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 노자, 도덕경 시리즈 2
차경남 지음 / 글라이더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노자는 동아시아의 척박한 땅에 핀 고대의 희귀한 꽃이다. 지금 나는 이 희귀한 꽃을 만난 기쁨에 넘쳐 있다. 2,500년 전의 노자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빛나는 두 눈과 미소를 지닌 노자! 그의 말은 여전히 오묘한 향기를 풍기고, 그의 사상은 심오한 울림을 지니고 있다. 청년의 기상과 내면을 지녔으며 모든 이들의 스승이 되어주는 사상가이면서도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 은둔의 노자가 나는 정말 궁금하다. 부드러우면서도 청천벽력 같은 뇌우를 지닌 이 노자를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동양의 사상가 중의 사상가! 이 책 노자 2권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는 참된 인생을 살아갈 지혜가 담겨져 있다. 공자는 땅이고, 석가는 하늘이며, 노자는 바람이라는 글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다. 이 책을 통해 바람 같은 세상을 거닐었고, 파안대소 했으며, 바람같이 살았던 스승 노자를 만난다. 내 가슴은 뛰고 또 뛴다. 노자가 가리키는 ‘무위’의 진리를 이해하고 싶고, 세계의 본질과 내 안의 중심을 확연히 알고 싶기도 하다.

 

2,500년 전에 쓰인 5,000(오천)자에 불과한 글이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동양과 서양을 불문하고 많은 이들에게 영감과 진리를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노자가 가리켜 보이는 무위, 도, 자연의 세계를 향해 나는 걸어가고 있는 중이다. 책을 펼쳤다.

 

첫 장에서 ‘무위(無爲)’라는 두 글자를 만난다. 이 책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의 문이다. 노자로 가는 길에 ‘무위’가 환영하고 있었다. 도덕경 5천자를 용광로에 넣고 끓이면 결국 ‘무위’라는 두 글자가 남게 될 것이라고 한다. ‘무위’는 ‘행위자 없는 행위’이다. 무아이며, 에고 없음이며, 존재의 텅 빔이다. 이 책을 통해 우주의 참된 진리는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 속에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물처럼 담담하다가, 때로는 기이한 역설로 우리 정신을 일깨워주고, 삶을 다독거려 주기도 하는 노자가 우리에게 전하려한 것은 바로 무위이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무위’ 두 글자에 있다.

 

그 ‘무위’를 드러내주는 22편 ‘휘어져라, 그러면 온전하게 되리.’에서 만난 글!

휘어져라, 그러면 그대는 온전하게 되고 / 구부려라, 그러면 그대는 곧게 되며 / 텅 비게 하라, 그러면 그대는 가득찰 것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심오한 느낌과 노자의 사상에 매료되지 않을 수 없었다. 폐부를 찌르는 듯한 언어 속에서 침묵의 세계와 참된 이치를 발견하는 기쁨은 이루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 강하고 힘이 있는 것은 부드럽게 휘어지고 구부려지는 것을 이기지 못한다. 아예 텅 비어버리면 그 자리는 바로 근원이다. 얼마나 나는 강해지려 노력하고 애써 왔는가? 이제는 쥐고 있던 손을 펴서 놓아버림을 노자를 통해서 알게 되면서 가슴속에서 따스한 치유와 뜨거운 무언가가 나를 환희로 이끌어주고 있음을 느낀다. ‘무위’의 세계는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노자’라는 새로운 스승을 만나게 되었다.

 

무려 2,500년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도덕경이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양의 21세기 영적교사로 알려진 에크하르트 톨레는 “도덕경은 나를 떠난 적이 없다.” 라고 말하며 도덕경을 서양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 노자의 철학은 ‘도’라는 잡힐 수 없는 것을 말하면서도 끊임없이 현실에 대한 성찰과 비판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는 ‘도’를 지향하는 사람이지만 현실적으로 그가 발을 딛고 있는 곳인 인간사회에 대한 관심의 끈을 결코 놓지 않은 사람이다.

 

81편으로 되어 있는 도덕경은 ‘도’를 다룬 1~37편과 ‘덕’을 다룬 38~81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은 노자 2권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이며, 21편~50편의 내용을 해석한 도덕경 주석서이자 한국 사회에 대한 철학 에세이다. 노자의 원전 도덕경을 저자 차경남님이 한자의 직역이 아닌 우리말 하나하나의 아름다움과 뜻을 새겨 섬세하게 번역해냈다.

 

무위와 현실에 대한 깊은 직관과 통찰을 독자들에게 치열하도록 아름답게 전달해주는 저자 차경남님의 노자를 닮은 무위의 지성을 책의 곳곳에서 느낄 수가 있었다. 노자의 도덕경은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읽고 공부하는 것이라고 한다. 머릿속에 담고 있는 지식을 빼내는 지혜의 ‘도’를 살아가면서 이해하게 될 것이다. <문 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 5천여자의 짧은 글 속에 세계의 고사와 동서양 철학, 세계사와 우리나라의 역사를 펼쳐내고 있다.

 

천지만물 중에서 작위(作爲)가 없고 유위(有爲)가 없는 ‘무위’를 닮은 사물이 바로 물일 것이다. 형체도 맛도 모양도 갖추지 않아 어떤 모습으로 변화가 가능해서 고이지 않는 ‘물’을 사랑하고 바람처럼 살았던 노자가 내 안에 살아있고, 우주의 중심에 앉아있다. 그는 영원에서 와서 영원에 대해 이야기 한다. 과거의 인물이 아니다. 시간을 초월해 있다. 어떤 누구보다 현실의 인간이며, 미래의 인물이다. 그는 살아서 뛰는 맥박을 지니고 뜨거운 심장을 지닌 채 나에게 웃으며 다가와 주었다. 스승 노자를 만나 행복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