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열림원 세계문학 4
헤르만 헤세 지음, 김길웅 옮김 / 열림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싯다르타> 꼭 다시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해오던 책이다. 청소년 시절에 이 책을 읽으면서 다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삶과 미래에 대한 의문을 품게 했던 작품이다. 다시 읽게 된다면 그동안 자신이 어떻게 성장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이 책을 다시 읽게 된 것은 매우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저자의 인도 여행과 철학적 탐구가 담긴 이 책은, 싯다르타라는 한 구도자가 자기 자신에게로 향하는 길을 걸어가는 여정을 보여준다.


표지 속, 어린 시절 우상이었던 헤르만 헤세의 사진을 들여다보았다. 그리고 한 문장씩 읽으면서 마음이 뛰었다. 다시 읽는 싯다르타는 새로운 책이었다. 작가가 엄청난 정신세계를 갖추고 있어 100년 전에 발표된 책인데도, 현대적인 감각의 문장과 명상적인 사유로 마음을 사로잡았다. 한 단어 한 단어가 정말 대단하다는 것을 느꼈고, 번역이 무척 유려해서 이 책은 저자와 번역과 싯다르타의 생애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내고 있었다.


싯다르타는 브라만 계급의 출신으로 종교적 예배 속에서 성장하면서 촉망받는 청년이었다. 그러나 정해져 있는 교리와 율법 속에서 그는 행복할 수 없었다. 친구 고반다와 출가하여 숲에서 수행하는 사문이 되었다. 많은 명상법과 스승을 만나면서 싯다르타는 참 나에 대한 명료한 인식이 문자와 가르침에 있지 않다고 생각하여 붓다와의 만남에서 떠난다. 이때 고반다는 붓다의 제자로 귀의하였다. 싯다르타는 세속의 부와 향락을 누리고 모든 번뇌를 다 체험한다. 20년이 넘는 긴 세월동안 내면의 깊은 갈증을 겪다가, 일순간 변화의 체험을 통하여 구도의 정신이 완성되어 간다.


싯다르타가 세상과 수행의 길에서 보았던, 성(聖)과 속(俗), 선(善)과 악(惡), 미(美)와 추(醜) 등, 모든 과정은 누구나 경험하면서 살아가는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싯다르타는 오랜 시간동안 바라문 사문 상인 중개상 노름꾼 사공 등... 방황한 후에 비로소 새사람이 될 수 있었다. 세월이 더 흘러 노인이 된 두 친구, 수행공동체에 귀의했던 친구 고반다가 이루지 못한 내면의 성장을, 싯다르타는 시련과 고통을 통하여 진정한 현자 뱃사공이 되었다. 강물처럼 멈추어 있지 않고 변화하면서, 동시에 모든 물방울들이 함께 강에 존재해 있음을 깊이 깨닫는다.


대중에게 알려진 붓다가 된 고타마와, 이 책 속의 싯다르타는 다른 인물이지만,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된다. 싯다르타의 성장과 구도의 여정과, 참 나를 찾고자 하는 열망은, 훗날 붓다를 이룬 ‘고타마’ 라는 이름이 지닌, 진리에 대한 실현과 눈부신 현존으로 안내해주기 때문이다. 문장마다 무척 아름답고 경이로워서, 머물러 깊은 묵상에 잠겨들게 했다. 연꽃이 진흙 속에서 청정하게 피어나듯, 작가의 위대한 정신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새로운 세대로 끊임없이 그 사상이 향유되고, 독자의 마음에 찬란한 빛으로 되살아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