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고 싶은 수학
사토 마사히코.오시마 료.히로세 준야 지음, 조미량 옮김 / 이아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풀고 싶은 수학> 처음 이 책을 펼쳤을 때, 아!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을까? 하는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앞섰다. 저울 위의 셀 수 없이 많은 너트가 올려져있고, 한 개를 덜어내면 너트는 몇 개일까? 첫 문제를 보고는 눈이 동그래졌지만, 이내 자세히 문제를 파악해 본 후에 너무 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에 수학에 대한 ‘어렵다’는 고정관념과 선입견이 앞섰을 뿐, 사물을 인지하고 그 문제 속으로 들어가면 실제로는 너무 쉽다는 사실에 수학이 가깝게 느껴지고 재미있고 친근해졌다.


부두의 말뚝에 두 개의 로프가 걸려 있고, 먼저 한 개의 로프를 푸는 문제는, “이걸 풀 수 있다고? 어떻게?” 문제가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눈으로 상상력으로 로프 한 줄을 풀어보니 너무 쉽게 풀어져서 사물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해결력과 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스스로의 진단도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저자는 영상 미디어를 이용해 수학 교육의 혁신을 주도해온 최고의 전문가들답게 생각의 확장을 넓혀 주고 있다.


복잡한 공식과 원리를 대입하는 문제풀이가 아니라 단순하게 일상의 그림을 눈으로 보고 머리로 생각하는 ‘비주얼 수학’이다. 수학 열풍을 가져온 화제의 베스트셀러이다. 이 책은 수학에 대한 친근함을 준다. 일상에서 자주 대하는 초콜릿의 크기 비교나, 치즈 나누기, 도미노, 케이크, 주사위, 버스의 창문... 이런 익숙한 일상의 소재들을 보면서 간단한 생각의 전환만으로 문제를 풀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삶의 즐거움으로 이어짐을 알았다.


디지털이 주도하는 21C를 살면서 스마트폰이나 온라인의 삶을 사는 것에 익숙해져 간단한 버튼 하나로 해결하는 생각의 축소와 행동이 부족한 시대를 살고 있다. 종이책에 가득한 사물의 그림으로 이루어진 비주얼 문제들을 통해서 사고의 유연성, 말랑말랑한 두뇌놀이에 무척 좋은 책이다.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수학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게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이 책은 그림이라는 비주얼을 활용하여 사물에 대한 관찰력과 집중력을 높여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