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살의 언어 - 삶과 죽음의 사회사, 2024 아우구스트 상 수상작
크리스티안 뤼크 지음, 김아영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11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책을 증정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정해진 수명에 떠나는 여정과는 달리 갑작스러운, 그리고 자신의 의지로 이 세상을 떠나는 것, 스스로 죽는다는 의미의 자살이라는 용어는 이제는 방송에서도 금기시되는 단어가 되어 극단적인 선택 등 다른 말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 것처럼 사회적으로 점점 흔한 현상이 되는 동시에 반대로 금기시되기도 하는 역설적인 사회 현상인 것 같습니다. 보통 자살하는 사람들이 어떤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 시달렸는지를 그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 책은 그 사람의 고통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자살한 당사자의 주변인과의 복합적인 관계와 유대감을 함께 묘사하고 있어서 더 애절하고 안타까운 심정으로 다가오는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먼저 떠나간 이를 차마 잡지 못하고 그대로 떠나 보내야만 하는 사람들의 심정을 아주 미약하게나마 공감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자살한 고모로 인해 갑작스러운 소식을 받은 조카, 마지막 순간임을 암시하는 문자를 받은 어머니의 당황스러움과 추후에 알게 된 사실로 인해 무너지는 심정 등 자살로 인해 떠나간 사람들이 받은 고통들과, 그 사람들을 사랑하고 믿고 의지한 사람들의 고통까지 안타까운 모습들이 많이 담겨 있었습니다. 자살이란 무엇이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사람들이 왜 자살, 혹은 해외에서는 쉬운 길을 택했다고 비유되는 자살에 대해 그것이 과연 쉬운 길을 걷는 것인지 사회적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참 복잡한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하루 자살자가 40여 명에 이를 정도로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고 자살자가 존재한다는 건 그 또는 그녀를 떠나보내고 남겨진 가족들과 지인들도 함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책이 줄곧 말하고 있는 것처럼 마음의 짐을 지고 있는 분들도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웨덴의 공립의과대학인 카롤린스카대학교의 정신과 의사이자 교수인 크리스티안 뤼크 교수가 전하는 자살에 대한 연구와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은 스웨덴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