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디터의 일 - 생각을 편집하고 삶을 디자인하다 ㅣ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93
김담유 지음 / 스리체어스 / 2023년 6월
평점 :



저는 통상적으로 에디터(Editor)란 책을 편집하는 일을 하고 보수를 받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외국 책을 번역할 때는 그저 외국의 작품 도서들을 국내의 번역가가 번역한 후, 에디터가 오타 등을 검수하며 다듬는 정도의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이면의 고충이나 애환들 또한 역시 우리 대다수가 모르는 채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에디터는 단순히 오탈자만 검열하고 출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열정적인 도서 편집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도서를 검수하고 출판에 이르게 할 경우 때로는 가히 탈진할 정도의 고된 노동의 과정이 되며, 그렇게 기나긴 과정을 통해 어렵사리 출판을 시킨 이후에는 큰 허무함과 허전함 또한 감당해야 하는 직업임을 이 책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이 책의 저자는 오랜 편집에 관한 경험으로 인해 글을 많이 보셔서 그런 것인지, 혹은 원래 글을 잘 쓰는 분이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굉장히 글이 정제되어 있고 깔끔하며 교양인 수준의 글이라는 느낌이 말머리의 단 세 줄만 읽었을 때부터 알 수 있을 정도로 문체가 수려합니다.)
글을 다듬을 일, 편집이라는 것이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허울의 모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우리가 모르는 더 많은 내용들을 알고자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제 경우에는 실용서 등 책의 기본적인 기능은 우리가 모르는 것을 알려주고 어두운 부분에 빛을 환히 밝혀 주는 것처럼 사고를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이 책은 그러한 경우에 부합하고 특정 직업군의 실무자가 일선에서 수행하는 구체적인 업무의 과정과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 직업을 가진 자들이 가지고 있는 애환은 무엇이 있을지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우리나라에도 국어국문학과나 국어교육과, 또는 문예창작학과 등 문학과 관련된 학과가 굉장히 많아서 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 또는 저처럼 독서 자체를 즐겨서 딱히 장르를 가리지 않는 분들ㅣ라면 책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고, 이 책도 이러한 모든 분들이 읽어 볼 만합니다. 한 권의 신간 도서라는 작품이 등장하기까지는 그 이면에 편집자들의 피와 땀이 있음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이 책을 직접 읽고 구체적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 출판사로부터 책을 증정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