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와 살아가기 위한 기초 지식 - AI 개념부터 위험성과 잠재력, 미래 직업까지 AI 세상에서 똑똑하게 살아가는 법
타비타 골드스타우브 지음, 김소정 옮김 / 해나무 / 2024년 1월
평점 :
결국 어디까지 규제할 것인가란 물음. 그게 국가 별로 통제할 수 있을까? 전혀 아니올시다.
먼 미래의 일이지만, 핵심은 인간을 닮는 게 아니라 인류를 닮아가는 AI를 어떻게 바라보고 개선해야 될까란 철학적인 질문으로 나아간다. 음란물과 혐오 자료들이 넘쳐난다고 인터넷 사용을 금지할 순 없지 않은가. AI를 통제하자고 하는 저의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지금 핵무기 가진 나라들 봐라. AI는 핵무기보다 휠씬 강력한 미래를 가진 무기이지만 특정 계층, 국가, 집단이 독점할 것인가? AI를 국가별로 제어하고 통제할 수 있을 것인가? 나는 비관적으로 본다. 넌센스다. 인류를 위협한다고 계속 떠들겠지만 결국 필연적으로 소수에게 권력이 편증되는 결과만 낳을 것이다.
인류의 많은 부분이 편협적이고 지나치게 차별적이고 이념에 사로잡혀있으며, 대단히 이기적이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데, 이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해야 될까. 규제를 해야 되는데 범지구적인 규제가 가능이나 한가.
저자는 그 답이 ‘여성’에게 있다는 유용한 페미니즘적인 시야를 가지고 있다고 마무리되길 자연스럽게 예상했는데, 거기까지 이르진 못했다. 남자들이 만드는 AI는 성차별적이란 사례와 더불어 과거 그리고 지금 현장을 리드하고 있는 뛰어난 여성들을 소개해 준다. 이렇거면 사실 제목 뒤에 (여성 편)이라고 추가했어야.
AI의 순기능에 대해 나열해 주는 목록들이 정말 좋았고, 장밋빛 미래를 보여준다(항상 그렇지만 말하고 꿈꾸는 건 아주 쉽다). 특히 의료 분야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