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
마이클 셸런버거 지음, 노정태 옮김 / 부키 / 2021년 4월
평점 :
거대한 공포 그늘 밑에 움직이는 자본. 공포는 진심으로 돈(비즈니스)이 된다.
지구를 위한다는 거짓말(스티브 E. 쿠닌)을 이은 환경 착각 시리즈. 목차들과 소제목들만 봐도 이미 반은 읽은 것이나 다름없다.
나만 빼고 다 미쳤다면, 나만 미친 거랑 무엇이 다를까? 이렇게 우린 거짓 정보들이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사이비 전문가들과 무뇌한 셀럽들, 클릭 수에 목숨 건 언론, 표팔이 정치인들의 달콤한 선동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는 시대.
단지 환경 문제만이 아니다. 믿고 싶은 것만 믿고 싶은 대중들의 진실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의 위험성을 고발하고 있다.
에밀 졸라의 ‘나는 고발한다’도 같은 맥락이다. 여론의 대세를 거스르는 소수의 진실한 의견에 혐오와 분노를 내세워 입을 막아버리는 작태. 거짓에다가 종교화된 정치 이데올로기를 더해 비슷한 생각을 가진 민중들을 모아 진실을 살짝 재가공해 찍어내 소위 전문가 몇 명과 인플루언서 양념 뿌려 거짓 출처까지 태그를 달면, 완벽한 선동 뉴스가 탄생한다.
우리의 뇌는 그것을 꾸역꾸역 맛있게 먹으면서 점점 중독되고, 결국엔 뇌가 썩어가고 비판적 사고의 기능이 사라져버린다. 진실보다 이념이 더 우선인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은 이 책처럼 사실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분석해 보고, 감정에만 충실하지 말고 이성적인 양심을 탑재하는 것.
—————————
캘리포니아는 비닐봉투를 금지했고 그 결과 종이봉투와 두툼한 가방인 '에코백'의 사용이 늘어났다. 문제는 이런 제품을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탄소와 소비되는 에너지 양이 비닐봉투보다 더 많다는 데 있다. -140p
고릴라와 다른 야생 동물들을 진정 위협하는 건 석유 회사나 경제 성장이 아니다. 2014년 12월 그 지역을 방문했을 때 나는 확실히 알게 되었다. 가난하기 때문에 나무를 연료로 쓰는 것이 진정한 문제였다. -158p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값싼 전기와 LPG를 공급하기 위해 ••• 콩고는 치안과 평화 그리고 무엇보다 산업화를 이루어야 한다. 수많은 나라가 과거에 그런 방식으로 가난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188p
/산업화와 농업 생산성 향상이 숲을 회복시킨다/ -198p
자동차가 등장하기 전 뉴욕의 모습은 어땠을까. ••• 거리는 온통 말의 통과 오줌으로 뒤덮여 있었고, 자연스럽게 파리 모기가 꼬였으며, 질병이 창궐했다. 내연 기관을 장착한 차량이 등장하면서 에너지 밀도가 훨씬 높은 석유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었고 오염 물질 배출은 확연히 줄어들었다. -218p
그린피스나 멸종저항의 주장은 틀렸다. 가난한 나라에 에너지 밀도 높은 공장이 들어서는 것은 숲을 위협하지 않는다. 공장이 떠나 버릴 때 숲은 진짜 위기에 빠진다. -220p
진화는 새로운 생물종이 기존의 종을 대체하는 과정이다. -243p
/계층과 정치에 좌우되는 에너지 전환/ -258p
태양방 및 풍력과 달리 원자력은 전기뿐 아니라 열도 공급할 수 있다. 탄소 배출 제로 에너지 가운데 풍부하고, 지속적이며, 저렴한 열 공급원 역할까지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원자력뿐이다. -316p
산업혁명은 석탄의 에너지 밀도가 나무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가능했다. 같은 원리로 에너지 밀도가 훨씬 낮은 태양광과 풍력으로는 오늘날의 고에너지 도시 산업 사회와 문명을 지탱할 수 없다. -385p
바이오 연료는 에너지 효율이 낮다. 그래서 생산 과정에서 더 많은 땅이 필요하다. 이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388p
지역 환경 운동가 리사 리노스는 이상한 사실을 발견했다. 야생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 보면 미국에서 가장 큰 환경 단체들과 대립하는 일이 적잖이 벌어졌던 것이다. -394p
/이해관계로 얽힌 환경 단체의 민낯/
매키번은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환경 운동가 중 한 사람이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것처럼 그는 버몬트주의 원자력 발전소 폐쇄를 옹호한 인물이다. 그 결과 버몬트주는 탄소 배출량을 25퍼센트 줄이는 대신 도리어 16퍼센트 늘리는 결과를 빚고 말았다. -410p
앞서 톰 스타이어나 마이클 블룸버그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이타적으로 보이는 환경 자선 사업가가 지지하는 일에는 이익에 대한 추구가 종종 숨어 있다. -437p
2019년 8월 툰베리는 유럽에서 뉴욕까지 배를 타고 갔다. 탄소 배출 없는 삶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툰베리가 신재생 에너지 요트를 타고 대서양을 횡단한 일은 비행기보다 4배나 많은 탄소를 배출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이 항해에는 배를 몰 사람들이 필요했고 그 사람들은 다시 비행기를 타고 집에 돌아가야 했기 때문이다! -447p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기후 활동가들은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최선의 선택지인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공격한다. 그래야 자신들의 환경 종말론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480p
위선이란 궁극적인 권력 과시 행위 중 하나다. -489p
/환경주의는 어떻게 종교가 되었나/ -520p
이런 현상을 처음 접하고 15년쯤 공부하고 나자 나는 세속적인 사람들이 왜 종말론적 환경주의에 끌리는지 알게 되었다. 종말론적 환경주의가 유대교-기독교 또는 다른 종교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심리적이고 영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때문이었다. -522p
그래서 나는 기후 변화와 삼림 파괴, 멸종 등을 둘러싼 분노와 공포 조장을 지적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런 환경 운동이 키우고 있는 슬픔과 고독에 주목해야 한다. 그런 환경 운동의 많은 부분은 잘못되었다. 해소할 길 없는 불안을 퍼뜨리고, 사람들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이념을 유포하며, 실재하는 증거를 호도하거나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53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