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저넌에게 꽃을
대니얼 키스 지음, 구자언 옮김 / 황금부엉이 / 201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50년이 넘는 긴 시간동안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로 제작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대니얼 키스의 베스트셀러 소설 <앨저넌에게 꽃을>을 읽었다. 최근에 읽은 책들 중에서 읽기 전부터 가장 기대가 컸던 소설이었다. SF계의 노벨상이라는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했다니 대단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읽어보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이유를 알 것 같다. 왜 이제 읽었을까, 싶을 정도로 멋진 작품이었다.

주인공은 32살의 빵가게 직원 찰리. 그는 어린 시절 앓은 병으로 지능발달 장애를 갖게 됐다. 비록 7살 어린아이의 지능을 가졌지만 찰리는 사람들이 무시해도 진심은 아닐 거라고 생각하는 무한 긍정의 달인이다. 하지만 찰리는 엄청 큰 상처를 갖고 있다. 찰리의 엄마는 아들의 장애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무리한 치료를 하다가 정상적인 딸을 낳자 찰리를 버린다. 아빠는 그런 찰리를 지켜주지 못했고... 그런 부모에게 버림받은 찰리는 똑똑해지고 싶었다. 그의 유일한 소원이라고 보면 된다. 똑똑해져서 그저 자신의 가족들과 친구들에게 사랑받는 한 인간이고 싶었다. 자신이 글을 배워 글을 읽고 쓰게 된다면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좋아할 거라 생각한 찰리는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열심히 글을 배운다.

그러던 어느 날, 저명한 대학 교수가 찰리에게 제안한다. 뇌수술을 해서 찰리의 지능을 높여주겠다고. 많은 동물들에게는 성공했지만 아직 인간에게는 성공하지 못한 수술인데, 똑똑해지고 싶었던 찰리는 기꺼이 그 제안을 받아들이고 실험대상이 되기로 한다. 수술 후 연구자들은 찰리에게 어떤 생각을 하는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등을 기록하길 요구했고, 소설은 그에 따라 찰리가 작성한 보고서의 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제목이기도 한 앨저넌은 찰리가 실험실에서 만난 실험용 쥐이다. 과연 수술 후 똑똑해진 찰리는 바라던 대로 행복한 인생을 살 수 있을까?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이룰 수 있게 해준다고 접근하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 제안을 받아들일 것인가.... 처음엔 맞춤법도 엉망이지만 갈수록 주위의 많은 것들과 자신에 대한 분석까지 곁들인 찰리의 보고서를 읽고 있자니 정말 신기했다. 재미있고 흥미로우면서 감동도 있고.. 정말 멋진 작품인 것 같다. 찰리에게 감정 이입하면서 읽다보니 어느새 책장이 다 넘어가고 있었다. 안타깝고 짠한 마음과 함께 묵직하고 뭉클한 감정이 남았다. 똑똑한 지능과 학식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었다. 오래 기억날 것 같은 작품이다.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