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나잇 저널 - 제38회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신인상 수상작
혼조 마사토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던 책, <미드나잇 저널>을 읽었다. 이 소설은 사건이 터지면 어느 시간이든 누구보다 발 빠르게 현장으로 뛰어가는, 취재처를 놓고 타지와 경쟁하고 특종을 놓치지 않기 위해 죽을힘을 다하는 기자들의 이야기이다. 특종을 너무 중시한 나머지 오보를 낸 기자들의 이야기로 소설은 시작된다.

 

칠 년 전, 주오신문 사회부 도마야 부장을 비롯한 기자 고타로, 유리, 히로후미는 아동 연쇄 유괴 살인 사건을 보도하는 과정에서 멀쩡히 살아있는 아이를 살해됐다고 오보를 낸다. 살아있는 아이가 죽었다고 했으니... 그 아이의 가족들이 얼마나 큰 충격과 상처를 받았을지 말할 필요도 없는 엄청난 실수를 한 것이다. 사과로 끝날 일은 아니었고, 부장을 비롯한 기자들은 모두 지방국으로 좌천되거나 일선에서 물러나야 했다.

 

그로부터 칠 년 후,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이타마에서 칠 년 전 그 사건과 비슷한 사건이 일어나고, 주오신문 사이타마 지국에서 활동하고 있던 고타로 기자는 이 사건이 신경 쓰인다. 칠 년 전 그 사건의 범인은 이미 사형이 집행되어 이 세상에 없지만, 그 사건의 공범이 있어서 그 공범이 다시 사건을 저지르기 시작했다면? 사실 고타로가 이렇게 생각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그는 칠 년 전 그 사건의 범인이 2인조일 가능성이 있다는 기사를 직접 썼었기 때문이다. 경찰은 부인했으나 사형 집행 받은 그 범인도 공범이 있음을 진술했었다. 바로 말을 바꿔버리긴 했지만... 공범설은 그 당시 오보 사건에 너무 집중된 나머지 미처 추적하지 못한 사실이었다.

 

만약 그때 공범이 진짜로 있었고, 그 공범이 칠년이 지난 지금 다시 사건을 일으키기 시작한 거라면, 경찰은 물론 그 사실을 의심하고 기사로 쓰기도 했지만 끝까지 밝혀내지 못한 기자들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생각이 든 고타로, 유리, 히로후미 기자는 각자의 방식으로 진실을 찾아 뛰어 다닌다. 고타로가 가장 적극적이고 어떻게 보면 히로후미는 소극적인 것 같지만.. 그런 방식이 그 사건을 이겨내는 히로후미만의 방식이라는 유리의 말에 크게 공감했다. 모두가 같은 방식일 필요는 없지 않을까. 방식은 달랐지만 어쨌든 추구하고자 한 것은 진실의 발견이라는 점에서는 같았으니까..... 그 사건 이후 히로후미는 사회부 기자를 자진해서 그만 뒀지만 어쨌든 개인적인 시간을 내서 경찰을 만나러 갔고, 후지세가 취재를 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저널의 혼이 남아 있는 것... 그 사건을 이겨내는 세 사람의 방식이 다 달랐던 것이 인상 깊었다.

 

이 소설은 공범이 누구인지 왜 그랬는지 사건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기자들의 일상, 취재 과정, 취재 정신에 초점을 맞춘 소설이다. 사건이 핵심이 아니라 기자가 핵심이라는 말이다. 기자 출신 작가라 그런가.. 그만큼 기자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냈고, 이 소설을 읽고 나면 기자의 직업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습관처럼 텔레비전을 켜고 뉴스를 시청하면서도 이 뉴스를 보도하기 위해 밤새 잠도 못자고 열심히 뛰어다녔을 기자들의 노력을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가끔 연예 기사들을 보면 이런 기사들은 나도 쓸 수 있겠다, 생각하며 기자되기 참 쉽네.. 생각할 때도 있었는데, 모든 기자가 그런 것은 아니라는 걸 평소엔 잘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아서 반성했다. 기자들은 그냥 사건이 터지면 현장에 달려가서 인터뷰 좀 하고 기사 쓰는 게 전부가 아니었다. 사전에 미리 정보원도 만들어야 하고, 그들과 계속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하고.. 기사를 쓸 것인지 말 것인지 신중히 구분해야 하고 쓴다면 어디까지 쓸 것인지도... 그러면서도 타지보다 먼저 터트려야 하는... 하루하루 엄청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이었다. 직접 발로 뛰어 두 눈으로 현장을 확인하고 공정하게 사실을 보도한다는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진 기자들이 모두가 잠든 한밤에 사건을 취재하고 진실을 밝혀내 사회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이야기... 궁금하면 한번 읽어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