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조와 사도 - 위대한 군주와 잔혹한 아버지 사이, 탕평의 역설을 말한다
김수지 지음 / 인문서원 / 2015년 10월
평점 :
영화 <사도>가 개봉하고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관람하고
있는 중이다. 나 역시 기대를 갖고 관람했고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었을까 생각하며 가슴 아프기도 했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가족사가 아닐까. 아버지가 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이다니. 영화를 보고 관련 책을 한번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책 <영조와 사도>를 읽게 됐다. 이 책은 어떤 관점으로 영조와 사도세자를 바라보고 있을까 궁금했다. 아마 독자들은 표지만 봐도
이 책이 어떤 입장에서 이야기를 하는지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사도세자를 적극 옹호하고 있는 입장이다.
그동안 그런 비극적인 일이 일어나게 된 원인이 영조의 콤플렉스에
있다, 붕당 정치에 있다, 사도세자의 정신병 때문이다 등등 많은 이야기가 있어왔는데(심지어 나는 어디선가 영조가 치매 때문에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둔 걸 까먹었다는 얘기도 들은 듯?) 저자는 사도세자에게 원인이 되어 임오화변이 일어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다른 관점과 역사적 사실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책은 조선 후기의 정치사, 정쟁사 이야기를 전반적으로 다루면서 그 과정에서 사도세자가 억울하게 희생당했다고 이야기한다.
즉, 영조가 아들을 죽일 수밖에 없었던 데에는 복잡한 정치적 환경과 치밀한 정략적 계산이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또 이 책은 영조를 콤플렉스 덩어리로 바라본다. 무수리의 아들이라는
출생 때문에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할까 두려워했고 형인 경종을 독살했다는 의혹에 시달렸던 영조. 그런 이유들 때문에 더 왕권에 집착한 왕으로 보고
있다. 흥미로웠던 부분은 사도세자의 죽음 개요 과정에서 비합리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대목들을 하나하나씩 지적하는 부분이었다. 사도세자에게 간질
증상이 있었다, 정신병이 있었다 등등 여러 이야기들이 많이 있는데 이런 이야기들의 근거가 된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이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기도
한다.
숙종 - 경종 - 영조로 이어지는 그 과정에서의 수많은 당파 싸움에
대해 크게 흐름만 잡고 있었을 뿐 세세한 부분까지는 기억하고 있지 못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공부할 수도 있었던 것 같아 좋았다. 영조
입장에서 생각해봐도 당시 상황이나 자신의 출생에 대한 콤플렉스, 경종을 독살했다는 소문들이 영조를 힘들게 만들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학교에서 배울 때는 오랜 기간 왕의 자리에 있으면서 탕평책을 시행하고, 가난한 농민들을 위해 좋은 정책을 많이 만들었다고 배웠고 그렇게
기억하는데 자신의 자리를 계속 지키기 위해 집착하는 또 다른 모습도 보게 되어 참 안쓰럽기도 하다. 영화에서도 나왔지만 걸핏하면 왕의 자리를
넘기겠다면서 자신의 자리를 확인하는 모습이 탐욕스럽고 적정선을 지킬 수 없었을까 안타까웠다. 왕의 자리라는 게 권력이라는 게 무섭다는 생각도
든다. 자기 자식을 죽이면서까지 지켜야 하는 자리라는 게.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대다수가 영조의 편에서 바라볼 때
사도세자의 편에서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너무 한쪽에서만 바라보면 균형을 유지하기 힘드니까. 또, 이쪽 편에서 바라보면 새로운 게 보일 수도
있지 않은가. 재미도 꽤 있다. 이번 책을 읽으면서 역사를 바라볼 때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꼈다.
학창시절을 떠올려보면 그런 생각 없이 보고 듣는 대로 받아들였던 것 같다. 어차피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주관성이 개입될 수밖에 없고 또 역사는
승자의 기록 아니던가. 그러니까 중요한 건 다양성을 확보해야 하는 게 아닐까. 균형 있게 그 역사적 사실을 바라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