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이라는 병 - 가장 가깝지만 가장 이해하기 힘든…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하다
시모주 아키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살림 / 2015년 7월
평점 :
가족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해 생각해본 적 있는가? 우리는 한 지붕
아래 긴 세월을 함께 산 가족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저자는 묻는다. 당신, 가족에 대해서 아느냐고. 그리고 답한다. 사실은, 아무도
가족에 대해 모른다고. 이 책을 읽기 전에 나는 나에게 가족은 가장 가까운 사람들이니까 잘 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다 읽고 책을 덮고 보니
내가 잘 알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던 게 정말 맞긴 한 건지 당황스러워졌다. 가족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요 근래 읽은
책 중에 가장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었다. 내가 기존에 갖고 있던 ‘가족’에 대한 생각을 다시 살펴보게 해주었다.
저자는 먼저 서문에 자신에게 가족이 무엇이었는지를 솔직하게 고백하면서
글을 시작한다. 가족이라는 단위를 싫어하는 저자는 가족 구성원 각자를 한 사람의 개인으로 간주하고 이야기를 진행한다(결국 이런 생각이 이 책의
핵심이었다). 저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아버지를 피해왔다. 아버지를 이해하길 거부했고 심지어 아버지께서 돌아가실 때까지 일이 바쁘다는 핑계로
병원에 입원해 있는 아버지께 면회 한 번 가지 않았다. 또, 자신의 인생도 없이 저자를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했던 어머니의 모습이 싫어
어머니도 피했고, 오빠와는 마주 앉아 얘기를 나눈 적도 별로 없었다고 한다. 그렇게 부모님과 오빠를 먼저 떠나보내고 그제야 자신이 도대체 가족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나 생각이 들었던 저자는 도대체 가족이란 무엇인지 의문을 품게 됐다.
그리고 가족이라고 하면 무조건 믿는 맹목적인 우리의 모습과 다들 알고
있지만 숨기고 있는 가족이라는 병에 대해 이야기한다. 제시된 사례들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이야기이다. 사실 생각해보면 진짜
그렇다. 가족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게 아니다. 태어나자마자 정해져있는 것이니까. ‘우리 가족’이라는 그 안에서 아버지는 아버지를, 어머니는
어머니를, 자식은 자식을 연기하고 있다는 저자의 말이 머리를 맴돈다. 냉정하게 말하면 우리는 우연히 한 가족이 된 것일 뿐 전혀 다른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가족이란 함께 살고 있는 타인이라는 것이다. 물론 완전한 타인은 아닐 것이다. 한 지붕 아래 긴 세월을 함께 살고 있으니
완전한 타인보다는 가깝고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인 것은 맞다. 하지만 마치 가족은 타인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고 살아왔던 나는 이 사실에 잠시
주춤했다. 글쎄, 연기하고 있다? 이렇게까지 말할 필요 있나. 하지만 천천히 생각하니 서로가 가족이라는 틀 속에서 각 역할을 기대하고 제대로
하지 못할 땐 또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상처를 주고받는지가 떠올라 깜짝 놀랐다. 가족이라는 것을 위해 각 개인이 얼마나 희생하고
매몰되었는지.
나는 가족이니까, 가족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희생은 당연히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살아왔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보니 그 생각이 위험했음을 느끼게 되었다. 물론 지금까지의 내 생각이 완전 틀렸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가족 간에 배려와 어느 정도의 희생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족을 선택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점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태어나자마자 만나게 된 가족이 심각한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 않은가. 하지만 너무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이 위험할 수도 있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 가족이라는 것을 떠받치느라 희생된 각 개인들의 불만이 조금씩 쌓여 작게는 말로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고 크게는 오늘날 뉴스에서 보는 무서운 사건들의 모습으로 터지는 것이다. 이제는 가족 각 개인의 인격을 되찾는 것이
진정으로 가족이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라는 저자의 주장에 공감한다. 우리는 단란한 가족이 정상적인 가족이라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는
가족이니까 이래야한다 저래야한다 하기 전에 가족 구성원 각 개인이 어떤 사람인지 이해해야 하겠다. 그동안 엄마 아빠 동생 각 개인을 생각하기보다
가족이라는 것을 더 생각하면서 살아왔던 것 같다. 이제는 각 개인이 어떤 사람인지 더 이해하려 노력해야겠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