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를 통해 배우는 한국 고사성어
임종대 엮음 / 미래문화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열심히 외웠던 고사성어. 기본적인 것들은 알지만 그 이후로 따로 공부한 적이 없고, 까먹은 것도 많아서 가끔 책이나 신문을 읽다가 나온 고사성어의 뜻이 헷갈릴 때가 있었다. 그래서 관련 책을 찾아서 다시 외워볼까 생각하던 찰나에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고사성어나 영어단어를 외울 때 딱 그 한자나 영어단어 그리고 뜻 이렇게 외우다보면 잘 안 외워진다. 그래서 학창시절에도 고사성어는 그 유래를 함께 읽으며 외웠고, 영어단어도 어원과 유래를 찾아 읽었었다. 그게 암기하는데 많은 도움을 줬었는데 이 책이 딱 그런 스타일이다.

이 책 <한국 역사를 통해 배우는 한국 고사성어>는 제목 그대로 한국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를 소개하는 책이다. 크게 유래와 인물이 있는 한국 고사성어, 주제별 한국 고사성어로 나누고 그 아래 각 장 별로 1장은 유래, 2장은 인물, 3장은 지혜*지략, 4장은 성패*정치*처세, 5장은 마음*철학, 6장은 사랑*충효로 나눈다. 우리 역사 속에서 가려 뽑은 한국 고사성어를 통해 역사와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배울 수 있다.

조선 초 무기 제조 기술자인 최무선과 그의 아들 해산 부자에게서 유래된 ‘기부기자/부전자전’, 조선 세종 때의 재상 윤회의 고사에서 유래한 ‘내심구압’, 조선의 사찰에는 이판승과 사판승의 두 종류의 승려가 있었는데 이 이판 스님과 사판 스님 사이의 이야기와 함께 소개된 ‘이판사판’까지.... 여러 이야기가 소개된다.

이미 잘 아는 고사성어도 있었고, 헷갈리는 고사성어도 있었고, 아예 모르는 고사성어도 있었다. 처음부터 외워야겠다라는 생각을 갖지 않고 한 장 한 장 책장을 넘겼는데,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해서 그런가 책장을 덮은 지금, 생각나는 고사성어가 많다. 잊지 않도록 여러 번 읽어야겠다.

부록으로 우리나라 속담까지 담아두었는데 이 부분도 너무 좋았다. 이 책 한 권으로 아주 많은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편저자는 중국의 고사나 성어는 스스럼없이 말하면서도 우리 역사 속에 간직된 고사는 성어화하지 못한 것에 아쉬움이 있어서 이 책을 엮었다고 한다. 편저자 덕분에 우리나라에도 좋은 고사성어가 많이 있다는 걸 알게 돼서 감사한 마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