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입문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살림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이 주목을 받으면서 아들러 심리학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아들러가 프로이트, 융과 함께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꼽힌다고 하는데, 나는 프로이트와 융의 이름은 알고 있었지만 아들러는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 소개를 통해 처음 알게 됐다. <미움받을 용기>는 아직 읽어보지 못했고, 먼저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을 읽어 보았다. <미움받을 용기>도 이 책에 기반을 두고 쓰인 책이라고 해서... 이 책은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중 한 명인 아들러 심리학의 권위자 기시미 이치로가 쓴 책으로, 그가 아들러 심리학을 연구하면서 깨달은 핵심 개념과 여러 메시지를 소개하고 있다.

이곳저곳에서 모두들 다 좋다고 해도 일단 내가 끌리지 않으면 관심을 두지 않는 편인데, 아들러 심리학의 책은 책 소개를 읽어보니 베스트셀러라서가 아니라 꼭 한 번 읽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평소 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걸까? 궁금했는데 아들러는 그 이유가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알고 있는,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받고자 하고, 어느 누구도 적으로 돌리지 않으려는 태도 때문이라고. 그런 이야기들이 흥미로워서 읽고 싶었다.

주변 사람을 적으로 만들지 마라, 최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줘라 등 그렇게 하기 위한 대화법, 방법들에 관련된 책들도 있다. 그런 것들을 읽다보면 해결책이라고 말해주는 것들이 해결책이 아니고 더 나를 갑갑하게 만들었다. 그런 책들 10권 읽는 것보다 이 책 한 권을 읽는 게 나한테는 더 도움이 되었다. 주변 사람을 적으로 만들지 않고, 주변에 좋은 사람으로 비춰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것들은 자신의 인생을 사는 게 아니라, 그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인생을 사는 것이다. 모두에게 사랑 받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다. 우리에게는 미움 받을 용기가 필요하다.

평범해질 용기와 행복해질 용기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우리는 남들보다 뛰어난 사람이 되고 그것을 인정받고 싶어 한다. 그럴 수 없을 때 우리는 비뚤어지거나 불안에 빠진다고 한다. 불안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니까 정말 그런 것 같기도 하다. 평범해지는 데도 용기가 필요하다. 또 우리는 행복해질 용기가 없어서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즉, 인생의 거짓말을 늘어놓으며 고통스런 현재에 머무르려 하고 변하려 하지 않기도 한다. 우리가 행복해지려면 자신을 바꾸려 하지 않는 태도에서 벗어나 인생의 거짓말을 과감히 버릴 행복해질 용기가 필요하다.

이 책을 읽고 미움 받을 용기, 평범해질 용기, 행복해질 용기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다.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해 정말 그러한 용기들이 필요한 것 같다. 또, 책 곳곳에서 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대하고 키워야 할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부모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나는 아직 결혼하지 않았고 아이도 없지만 읽으면서 나중에 어떤 엄마가 되어 아이와 마주하고 소통하고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도 해봤다. 아이에게 용기를 줄 수 있는 좋은 엄마가 되고 싶다. 전반적인 책 내용에 많이 공감했고 도움 받았다. 아들러 심리학에 대해 다룬 다른 책들을 또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