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인문학 길잡이 - 초보자를 위한 인문학 사용설명서
경이수 지음 / 책비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의 열풍이 뜨거운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인문고전에 주목한다. 나 역시 인문고전의 중요성은 아는데 괜히 어렵게 느껴진다고 해야 하나? 어렸을 때 읽은 고전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게 대부분이었고, 그래서 그 뒤로 선뜻 손이 가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책이 초보자를 위한 인문학 사용 설명서라고 해서 펼쳐 봤는데 목차를 보니 소개된 15권의 책 중에 제목이 눈에 익고 한 번쯤 읽어본 것 같은 책이 7권정도? 그런데 제대로 기억나는 건 3번쯤 읽은 <그리스인 조르바>와 <죽음의 수용소에서>뿐. 나머지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고전은 나에게 너무 먼 존재인 것 같다.

<친절한 인문학 길잡이>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첫걸음으로 인문고전 읽기를 제시한다. 살다 보면 한 번쯤은 생각할 법한 질문들과 그런 생각이 들 때 읽으면 좋을 고전들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넘쳐나는 욕심에 스스로도 감당하기 힘들 때 -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를 읽어봐라 이런 식. 이렇게 먼저 고전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한 점이 좋았고, 한 작품씩 설명하면서도 저자에 대한 설명과 여러 팁들이 제공되어서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저자는 인문고전을 머리가 아닌 마음으로 읽어야 한다고 말한다. 지식을 쌓는 것처럼 그저 머리로 읽는다면 기죽는 경험만 하게 될 거라고. 내가 그동안 고전을 어려워했던 이유가 바로 이거인 것 같다. 마음으로 읽지 못하고 지식을 쌓는 것처럼 머리로 읽은 것. 그러다 기죽어서 고전은 너무 어렵다고 자꾸 밀어내고.

생각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 인문고전을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에는 이 책에 소개된 15권의 책을 꼭 한 번씩 읽어보고 싶다. 그 중 가장 먼저 읽어보고 싶은 책은 버트런드 러셀의 <행복의 정복>이다. 이유는 저자가 인생에서 흑역사를 쓰고 있을 무렵에 우연히 이 책을 읽고 새 삶의 의미를 깨달았고, 그것을 계기로 인문고전 서적을 탐독하기 시작했다고 해서. 꼭 읽어봐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