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칠드런 - 2014 제8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76
장은선 지음 / 비룡소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에 사람들은 어떤 삶을 살게 될까? 상상해본 적이 있다. 과학과 의료 기술의 발달로 더 편리하고 건강한 삶을 살게 되지 않을까 그런 쪽으로만 생각을 해봤지, 저자처럼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저자의 상상력에 놀랍기만 하다.

 

지금으로부터 그다지 멀지 않은 미래. 의료 기술의 발달로, 노화를 멈추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게 된 세상. 사망률이 낮아지자 인구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했다. 각 나라의 정부들은 아이를 한 명씩만 갖도록 제한하며 수습하려 했지만 쉽지 않자 ‘자식세’를 신설하여 세금을 물렸다. 부모는 자식이 만 스무 살 성인이 될 때까지 매월 자식세를 내라는 것. 몰래 아이를 낳아 기르다 발각되면 부모는 처벌 받고 아이는 성인이 될 때까지 국립 보육시설이나 학교에서 집단으로 관리되었다. 이로써 학교는 정부에 허가받지 않고 태어난 아이들을 집단으로 수용하고 교육하는 국가기관이 되었고, 자식은 부유층이 재력을 과시하기 위해 갖는 사치의 상징이 되었다.

주인공은 '새벽'이다. 문도새벽. 새벽은 원래 부모가 있는 등록아동이었는데 부모님이 갑자기 사고로 돌아가신 후 학교에 수용되었다. 학교는 아이들을 인간 대접해주지 않는다. 시험 점수로 아이들을 철저하게 분류해서 발찌를 채우고 등급대로 기숙사, 급식 등을 차별해서 대우했다. 평범한 생활을 하다가 들어온 새벽의 눈에는 모든 것이 낯설고 불평등하기만 했다. 학교 안 학생 중에 새벽처럼 원래 등록아동이었던 경우는 드물고, 아이들은 거의 헤이즈와 넘버즈이다. 헤이즈는 부모가 세금을 내지 못하고 몰래 기르다 걸려서 학교에 수용된 아이들, 넘버즈는 낳자마자 버려져 기관에서 등록번호를 받은 아이들이다. 그래서 헤이즈는 등장인물 서노아나 한창우처럼 이름이 있고, 넘버즈는 등장인물 이오나 악어처럼 등록번호의 끝자리나 별명으로 불린다. 헤이즈와 넘버즈는 편을 나눠 다툰다.

헤이즈도 아니고 넘버즈도 아닌 등록아동 새벽은 모든 아이들로부터 시기와 외면을 받는데 유일하게 전교 일등 이오가 새벽의 친구가 되어준다. 학교에서는 졸업 때 성인능력시험을 치르는데 여기서 좋은 성적을 받으면 성인이 될 수 있지만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면 영원히 비성년자로 살아가야 한다. 비성년자는 결혼도 하지 못하고 선거권도 없다. 이오는 전교 일등이기 때문에 자신은 당연히 성인능력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아 성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성인이 되어 이곳을 떠나 바깥 사회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 원래 바깥에서 살다가 들어온 이오에게 이야기를 듣고 싶어 했다. 이오 덕분에 다른 아이들의 괴롭힘을 피하고 학교생활을 파악해 가는 새벽.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의 성공을 믿는 씩씩한 이오와 새벽의 우정이 보기 좋았다.

새벽이 첫 시험이 치른 날, 새벽은 이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전교 일등을 차지한다. 그리고 자신이 아무리 노력해도 바깥의 아이들과 격차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느낀 이오는 자살한다. 새벽은 또 다른 이오를 만들지 않기 위해 어른들이 만든 이 부당한 구조를 깨고 탈출해 바깥 세상에 도움을 요청하려 한다.

미래의 학교 모습인데 묘하게 현재의 모습과 겹쳐진다. 시험 성적으로 등급을 나눠 학생들을 차별하고 시험 성적에 실망하여 자살하는 학생들은 현재도 있으니까. 현재에도 미래에도 교육 방식을 바꾸지 않는 한 이런 문제들은 더 심해지면 심해졌지, 해결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각자 재능 있는 부분이 다른데 모두 똑같은 교육을 받고 획일적으로 시험 점수 하나만으로 줄을 세워 학생들을 평가하는 교육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학생들에게 최루탄까지 쏘는 장면은 읽으면서 너무 화가 났다. 탈출 성공하기를 간절히 바라며 읽었는데 열린 결말인 것 같다. 마지막에 새벽이 악어, 창우와 손을 마주 잡았을 때 왠지 찡했다. 감동적인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