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투 원 - 스탠퍼드 대학교 스타트업 최고 명강의
피터 틸 & 블레이크 매스터스 지음, 이지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만족스러운 책이었다. 읽을수록 내용에 더 빠져들게 되고 두세 번 더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페이팔 공동 창업자이자 벤처캐피탈 투자자인 피터 틸이다. ‘경쟁하지 말고 독점하라’는 문장이 기억에 남는다. 평소에 어떤 사업에서 성공을 하려면 경쟁은 필수라고 생각했다. 경쟁 속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승리하는 것, 그게 성공이라고 생각했다. 또, 독점이라는 단어는 왠지 좋지 않은 느낌이 들어서 나쁜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이 책을 읽고 보니 내가 경쟁을 통해 성공하고 발전한다고 생각했던 것이 경제학자들과 교육 시스템을 통해 주입된 이데올로기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회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말한다.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회사를 만들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얼핏 들으면 누구나 다 아는 내용 같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보다 기존의 것을 모방하는데 많은 시간을 쓴다. 물론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저자는 말한다. 그래봤자 세상은 1에서 n이 될 뿐이라고. 익숙한 것이 하나 더 늘어날 뿐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새로운 것을 창조하면 세상은 0에서 1이 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과제에 투자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새로운 것을 창조하여 경쟁하지 말고 독점하라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기존에 독점은 나쁜 것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소개된 여러 사례와 독점기업의 특징, 독점기업을 세우는 방법 등을 읽어보니 독점이 성공하는 기업의 특징이라는 점을 알게 됐다. 경쟁에서 벗어나면 독점기업은 될 수 있지만, 독점기업도 미래까지 살아남았을 때만 위대한 기업이 될 수 있다는 말도 기억에 남는다. 결국 중요한 것은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시장을 처음 창조해서 진입한 회사는 다른 경쟁 업체들이 뒤따라올 동안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뒤에 경쟁 업체가 따라와서 1위 자리를 빼앗는다면 처음 진입했던 것은 의미가 없다. 퍼스트 무버보다 라스트 무버가 되는 편이 낫다는 것. 저자는 특정 시장에서 라스트 무버가 되어 독점 이윤을 누리기 위해 작은 틈새시장을 장악한 다음, 거기서부터 규모를 확장하고 야심찬 장기적 비전을 향해 나아가라고 조언한다.

창업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읽으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