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하여 경기문학 16
정수리 지음 / 테오리아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파업을 했던 노조원들이 비인도적일 정도로 거액의 손해배상까지 청구 받으며 힘겹게 투쟁하다 결국 자살했다는 뉴스가 심심찮게 들린다. 강력 범죄 소식도 잊을 만하면 들린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악하며 뉴스를 보고 나서도, 시간이 지나면 어느 새 잊고 만다. 절망한 사람들 따위에는 신경 쓰지 않고 자기 코 앞의 생업에 바쁘고 가정사에 바쁘기 마련이다.
 
그러나 여기 최하층 서민의 삶을 들여다 보자고 외치는 작가가 있다. 정수리 작가의 <아들을 위하여>는 파멸로 치닫는 절대 절망의 이야기이다. 주인공들은 독수공방, 외부의 세계와 단절된 채 오로지 그들의 삶을 통째로 쥐고 흔드는 위협적인 거대세력의 횡포와 맞서다 속절없이 부서지고 무너진다. 한 치 앞이 보이지 않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분주하고 아득바득하게, 눈물겹게 살아내려고 노력하지만 그 모든 노력은 헛되이 사그라지고 만다. 잘 잡히지 않는 한 줄기 희망을 붙잡으려고 하지만, 이내 모든 희망은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고 파국으로 치달으며 절대 절망 속에 버려진다
.
 
읽는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사람이 이런 이야기를 읽는다면 비슷한 것을 느끼리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우리는 이런 삶을 외면하고 싶은 지도 모른다. 인생의 민 낯과 밑바닥 삶 따위를 생각하기에는 우리는 너무 바쁘고, 그런 것 따위는 신경 쓰고 싶지 않은지도 모른다. 그저 으리으리하고 휘황찬란하며 겉보기 멋있는 것만을 보고 싶은 지도 모른다
.
 
하지만 이런 삶은 분명히 우리 곁에 실재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적든 많든 삶의 고통은 존재하며 심지어 우리가 어떤 불행의 씨앗 때문에 이런 삶의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으리라는 것을 누구도 보장하지 못한다. 우리가 이 이야기를 읽어야만 하는 이유도 그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