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웹툰 만화 제작하기 - 스테이블 디퓨전·미드저니·챗GPT
김한재 지음 / 성안당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성형 AI가 널리 쓰이면서, AI를 이용한 크리에이터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GPT로 글을 쓰는 것은 이제 기본이다. 음악도, 그림도, 동영상도 AI를 사용해 아주 쉽게 만들 수 있다. Suno라는 유명한 서비스로 만든 음악은 아주 들을 만했고, Pika로 만든 짧은 동영상도 매력적이다. 사진을 올려서 그 사진이 움직이게 만드는 기능은 놀랍다. Sora가 출시되면, 이러한 AI를 이용한 컨텐츠 생성은 더욱 활성화될 것 같다.

지금껏 이미지 생성 AI는 주로 코파일럿 디자이너와 스테이블 디퓨전을 써왔다. 코파일럿 디자이너는 언어 능력이 좋다고 느껴져서, 에세이의 삽화를 생성하는 데 자주 썼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다양한 기능이 있는 데 반해, 그라디오를 사용한 GUI 인터페이스로 구동시키지 않으면 접근하기가 조금 어려웠다. 파이썬으로 제어해보려고 아마존에서 책을 직구까지 했는데, 출간이 아직도 한참 남았다. 그라디오를 쓰면 되지만, 그건 코랩에서 유료화되어서 아주 잠깐 테스트를 해 본 게 다였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을 로컬에서 그라디오를 사용해 구동시키는 법을 알려준다. Stability Matrix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간단하다. 당장 시도해보았다. 그러나 당연히 아주 느렸다. 코랩에서 구글 서버를 쓸 때도 꽤나 기다려야 했는데, 이건 도를 닦아야 하나의 그림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라도 시도해 볼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두었다. 안 그러면 코랩 유료 계정을 써야 한다.


스테이블 디퓨전에 넣은 프롬프트의 문제였는지, 모델의 언어 능력의 문제인지, 내가 의도한 그림은 얻어지지 않았다. 이런 종류의 이미지 생성은 코파일럿 디자이너가 나아 보인다.
다음은 미드저니를 시도했다. 미드저니는 현재 유료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YesChat이라는 사이트에서 매일 2개의 쿼리를 무료로 쓸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총 쿼리의 개수에 제한이 있고 모든 기능에 접근할 수는 없지만, 몇 개의 프롬프트를 시도해보기는 충분했다.
우선, 이 책의 내용과는 동떨어져 있지만, 개발하고 싶은 영어 교육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있어 로고를 요청해보았다. 그럭저럭 마음에 든다.




다음은 이 책의 주 내용인 캐릭터를 제작해보았다. 결과는 훌륭했다.




미드저니에서 최근 출시한 기능인 cref도 이 책에서 자세히 소개한다. 바로 시도해보았다. cref는 생성한 캐릭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생성해 준다. 웹툰 제작에 필수적인 기능이다. 그러나 미드저니를 공식 사이트에서 쓴 것이 아니라, 조금 편법을 써서 cref를 썼더니, 베이스가 된 캐릭터 이미지의 해상도가 좋지 않아, 캐릭터의 느낌이 조금 변했다. 하지만 너무나 훌륭하고 마음에 드는 캐릭터 시트가 완성되었다.





나는 에세이를 종종 쓰지만, 그림은 사실 전혀 못 그린다. 캐릭터나 만화, 웹툰이라면 젬병이다. 그러나 AI를 쓴다면, 내 에세이를 귀여운 웹툰으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 투비컨티뉴드라는 플랫폼에서 한 번 시도해보고 싶다. 다만, 그렇게 생성한 컨텐츠를 투비컨티뉴드에서 게시 금지를 하지 않는지는 한 번 알아봐야 할 듯 하다.
이제는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그림을 그리지 못해도 상관없다. 적절히 프롬프트를 쓰고, 몇 가지 테크닉을 익힌다면, 웹툰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스토리를 만드는 것도 챗GPT가 훌륭하게 도와준다. 아이디어만 있다면 쉽고 빠르게 작품 하나를 완성할 수 있는 시대. 나도 도전해보고 싶어 진다. 이 책이 아주 큰 도움이 되었다.



l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