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지 않는 뇌의 비밀 - 죽기 전까지 스마트한 사람들의 전두엽 단련법
와다 히데키 지음, 이주희 옮김 / 포텐업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위를 둘러보면 연세가 지긋하신 분들도 나름대로 천차만별이라는 것을 느낀다. 어떤 할머니는 아주 작은 일에도 성을 잘 내셔서 눈살이 찌푸려 지기도 하지만, 그보다 연세가 더 많은 다른 할머니가 훨씬 젊어 보이고, 활기차고 밝고 열정적으로 살고 계신 것을 목격하기도 한다.

그 차이는 무엇일까? 똑같이 나이가 들어도 누군가는 스마트하고 젊고 여전히 매력적이지만, 누군가는 의욕도 없고, 감정 조절도 되지 않아 모두가 싫어한다. 노인의학과 정신의학을 연구하는 와다 히데키는 그 차이가 전두엽의 쇠퇴와 유지에 있다고 주장한다.
전두엽은 뇌의 앞쪽에 있으며, 25세가 되어야 비로소 모두 성장한다. 전두엽은 집중력과 의욕, 창의력, 감정 조절, 사회성, 공감 능력, 통찰력 등 고차원적인 뇌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가 10대 때, 욕구를 조절하지 못하고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미숙했던 모습을 생각해보면 전두엽이 발달하기 전의 모습이 어떤 지 알 수 있다. 전두엽은 25세에야 완성되고, 그제야 사람은 자제력이나 집중력, 판단력을 가질 수 있다.
이 중요한 전두엽은 40대부터 줄어들기 시작한다. 꼭 노화가 아니더라도 외상, 뇌혈관 질환, 치매, 알콜 과다 섭취, 흡연,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도 뇌는 줄어들어 버린다. 전두엽이 쇠퇴하면 변화를 눈치채지 못하는 보속증이 나타나고, 변화를 받아들이지도 못하며, 변하고자 하는 의지도 없어진다.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아 외롭고, 매사 의욕이 없으며, 세상 일에 관심이 없고,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해 작은 일에 버럭 화를 내곤 한다. 이 책에 수록된 감정 노화도 테스트는 그래서 전두엽의 노화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두엽은 늦은 나이에도 충분히 단련할 수 있다. 흑백 논리에 물들지 않고 의견의 회색 지대를 고려하며, 새로운 일에 도전하고, 운동하며, 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읽기, 듣기 등 인풋보다는 말하기, 쓰기 등의 아웃풋의 경험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와다 히데키는 그러면서 아웃풋보다는 인풋만을 강조하는 일본 교육과 의료 교육의 현 세태를 비판하기도 한다.
나이가 들고도 총명한 정신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은 전두엽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있다. 와다 히데키는 자신이 하기 즐거운 일, 또한 남을 즐겁게 해 주는 일에 몰두하는 것이 전두엽을 활성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전두엽이 활발하게 활동할 때는 바로 마음이 설레고 두근거릴 때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기분이 좋아진다면 뇌가 움직이고 있다는 증거다. 다른 사람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관심을 끄는 아웃풋을 한다면,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 뇌는 더욱 활발해질 수 있다.
그는 405060 나이대 별 전두엽 단련법을 제시한다. 40대부터 전두엽을 관리하기 시작해야 하며 50대는 반드시 운동해야 한다. 60대에는 가능하다면 일을 해야 한다. 꼭 보수가 높지 않더라도 최대한 현역으로 있기를 권고한다. 70대는 머리를 쓰고, 고기를 먹어 영양 상태에 신경을 써야 한다. 80대는 이미 알츠하이머형 변성이 대부분의 사람에게 나타나기 때문에 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즐기는 것이 좋다.
과거, 뇌세포는 재생되지 않아 나이가 들 수록 머리가 나빠질 수밖에 없다는 믿음이, 이제 나이가 들어도 뇌는 충분히 가변성이 있다는 믿음으로 바뀌었다.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활발히 활동한다면 뇌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와다 히데키는 나이가 들어서도 전두엽을 관리하며 충분히 스마트하게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준다. 그 방법이란 것이 운동, 식생활, 수면 등 빤한 것이 아니라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노화는 어쩔 수 없는 면이 있지만, 그 안에서도 여전히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전두엽을 단련하며 충만한 삶을 사는 것이 만년의 과제가 될 것 같다. 만약 당신이 40대 이상이라면, 반드시 읽어봐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