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상 입문 - 데리다, 들뢰즈, 푸코에서 메이야수, 하먼, 라뤼엘까지 인생을 바꾸는 철학 Philos 시리즈 19
지바 마사야 지음, 김상운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책을 읽다 보면, 철학적인 배경 지식이 있어야 이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실 나는 철학에는 문외한에 가깝기 때문에, 그럴 때마다 참 곤란했다. 철학서를 읽어야겠다 생각했는데 마침 입문하기에 이 책이 제격이었다.
철학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아주 많은 철학자가 있지만 <현대사상입문>에서는 1960~1990년사이의 프랑스 철학을 다룬다. 이것은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이라고 불리며, 대표적인 철학자로는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미셸 푸코가 있다. 이런 철학자들을 들어는 보았으나, 그들의 철학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었다.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을 일본에서는 현대사상이라고 부르고, 저자 지바 마사야는 이 현대사상에 대해 입문서를 썼다. 제목부터 어려워 보이는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에 대한 입문서이지만, 사실 이 책을 이해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이들 철학에 대한 개론을 위주로, 너무 난해하거나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되는 것들은 제외하고, 지바 마사야 자신의 해석과 이해를 덧붙여 아주 쉽게 현대사상의 큰 줄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포스트구조주의는 구조주의 뒤에 나온 사상으로, 구조주의란 모든 것을 패턴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보편성을 지향하고 사물의 이치를 명쾌하게 설명해주는 특징이 있다. 이 패턴을 거대 서사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포스트구조주의는 이 패턴, 거대 서사에서 벗어난다. 변화와 차이를 중시한다.
저자는 먼저 기본 개념인 이항대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과 저것, 검은 것과 흰 것, 아이와 어른, 근면과 게으름 등 두 가지 대립하는 개념과 그 중 한 가지가 우위를 점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사상은 이 이항대립의 탈구축이 특징이다. 대부분 근면이 좋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과도한 일은 과로와 피로를 부르고, 창의성을 떨어트릴 수 있다. 게으름과 여유가 중요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것이 간단히 현대사상이다.
데리다는 이러한 이항대립의 탈구축이라는 개념을 정립했다. , 개념의 탈구축을 지향했다. 다음으로 들뢰즈는 존재의 탈구축을 정리했다. AB가 아니고, BA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AB는 여러 방향으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그 관계가 여러 곳에서 단절될 수 있다. 이 관계성을 들뢰즈를 리좀이라고 불렀다.
푸코는 사회의 탈구축을 주장했다. 바로 권력에 대해 논한 것이다. 권력은 꼭 권력을 잡은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지배를 받는 사람의 암묵적인 동의, 또는 인정과 지지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대 사상은 타자를 찾고자 하고, 사물을 인식하고 사고하는 틀로써 초월론적이다. 또한 현대사상은 자신의 주장을 극단으로 밀고 나가는 특징이 있으며 상식적인 세계관에 동조하지 않고 문제의식을 일으키는 성격이 있다.
포스트구조주의, 일본식으로 현대사상이라는 것에 대해서,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책이다. 풍부한 설명을 통해 다양한 철학자를 논하며 우리를 철학의 세계로 이끈다. 철학에 조예가 깊지 않지만, 관심이 있다면 입문하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