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4
조지 오웰 지음, 한기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1년 12월
평점 :
정보기술이 극도로 발달한 사회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유토피아가 될 수 있을까? 아니면
디스토피아가 될 수밖에 없을까? 요즘들어 종종 하는 생각이다. 내
인터넷 검색 기록을 들춰보고 비슷한 제품을 광고하는 스마트폰을 보거나, 빅데이터로 내 취향을 분석한다는
프로그램을 볼 때마다 가끔은 경악한다.
오래 전 한 번 읽었던 조지 오웰의 1984의 줄거리와 결말을 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요즈음의 정보기술과 데이터 사이언스를 보다 보면 자꾸만 나도 모르게 1984가
겹쳐져 보인다.
이번에 소담 출판사에서 1984가 새로 출판되어 다시 한 번 이 디스토피아 소설을 읽어보게
되었다. 1984는 빅브라더가 지배하는 전체주의 사회가 배경이다. 곳곳마다
빅브라더의 포스터가 붙어서 그 시선이 모두를 따라다니며, 텔레스크린이라는 장치가 모든 곳에 달려 있어서
계속해서 방송이 나오고 방송을 끌 수가 없게 되어 있다. 게다가 텔레스크린을 통해서 모든 소리는 도청될
수 있다.
생각만 해도 끔찍한 회색빛 사회다. 1984의 주인공 윈스턴은 진실부에서 일한다. 그는 과거조차 당의 의지대로 다시 쓰여 지고, 모든 것이 당에 의해
통제되는 것을 목격한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조차 드러낼 수 없다. 사상경찰이 있기 때문이다.
1984의 디스토피아에서는 심지어 일기를 쓰는 것조차 금지된다. 윈스턴은 상점에서 노트를
보고 충동적으로 노트를 구매한 후 일기를 쓰는 작은 저항을 시작한다. 그리고 그 저항은 조금씩 커져
간다.
빅브라더는 이러한 저항을 용납하지 않는다. 1984의 결말은 너무나 충격적이어서 다 읽고
난 후 울적해지기까지했다.
빅브라더의 사회가 현대의 과학 기술로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는 것 때문에 더욱 기분이 가라앉는다. 모든
곳에 달려 있는 CCTV, 어디에나 있는 인터넷으로 우리의 행적은 너무나 쉽게 드러난다. 데이터 조작 또한 바이러스나 여타 위험한 기술로 충분히 가능하다. AI가
생성한 거짓 정보는 너무나 그럴싸해서 깜박 속아 넘어가기 십상이다.
조지 오웰이 이러한 과학 기술의 발전을 예측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지만, 그가 1984를 통해 던지는 경고는 아주 생생하고 유효하다.
인공지능의 발전과 유전자 복제 등의 과학기술의 발전이 우리를 어디로 이끌지 아무도 알 수 없으나, 어떠한
모습이 되든지 우리는 조지 오웰이 경고한 1984의 디스토피아 사회를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그가 전하는 메세지는 언제까지나 유효할 것이다. 1984를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l 소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