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솔로 워커 - 미치지 않고 혼자 일하는 법
리베카 실 지음, 박세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1월
평점 :
몇 년 전, 회사를 나와 프리랜서가 되었다. 즉, 솔로 워커가 되었다. 주로
집에서 일하면서 회사 내 인간 관계로 스트레스를 받는 일은 없어졌지만, 가족들의 이런 저런 도움 요청과
잡일, 외출 부탁 때문에 내 일을 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일이 많은 시기에도 가족들의 부탁은 계속되었고 그런 시기가 가장 힘들었다.
사실 혼자 일한다는 건, 내 성향에도 잘 맞을 뿐 아니라 회사 정치라거나 출퇴근 등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도 되는 좋은 환경이었다. 거기다 누가 일을 시키거나 간섭하지도 않고, 정해진 근무 시간이 없기 때문에 내 행복을 위해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이런 근사한 환경에서 좀 더 스트레스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방법을
이 책은 제시해준다.
사실, 솔로 워커가 직장인보다 행복한 경우가 많지만, 불안하고
일에 더 잠식되기도 한다. 직장인처럼 일정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거기다 일의 양과 상관없이 수입을 얻을 수도 없다. 일을 많이 하면
수입이 많으나, 일이 없으면 수입도 없다.
그런 불안 때문에 많은 솔로 워커의 일이 삶을 잠식한다. 밥을 제대로 챙겨 먹을 시간 여유도
없고, 자나 깨나 일 생각이다. 사실 일하는 공간/시간과 쉬는 공간/시간이 분리되지 않은 솔로 워커도 있기 때문에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리베카 실은 일과 삶의 분리를 주장한다. 작업실을 얻어서 공간을 분리해도 좋고, 부엌에서 일한다면, 적어도 일을 끝내고 난 후에는 모든 자료를 박스에
넣어 보이지 않는 곳에 치우라고 한다.
항상 일을 할 수 있고, 일과 가까이 있다 보면 전혀 쉴 수 없어진다. 그리고 쉬지 않고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결국 솔로
워커는 탈진하고 만다.
휴가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휴가는 건강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휴가를 잡으라. 그리고 잡았다면 무조건 가라.
솔로 워커라고 항상 혼자만 있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자신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간의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때로는 그들이 가족도, 친구도 줄 수
없는 도움을 줄 수 있다.
리베카 실도 기자이자 작가인 솔로 워커다. 그리고 이 책을 혼자 작업했다. 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조언에 공감이 갔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등의 솔로 워커라면 공감하면서 읽을 수 있고, 유용한 팁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