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 교유서가 소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유재영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격 호러물의 분위기를 띄면서 가슴 졸이게 하나, 정작 호러라 할 만한 사건은 일어나지 않거나 뒷이야기는 독자의 상상에 맡기는 소설이라면 어떨까. <도메인>이 바로 그러한 단편 소설집이었다. 유재영의 <도메인>에는 <><>이라는 두 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영역은 바로 <>에 나오는 선배의 이름이다. 그리고 소설의 제목인 도메인”. 얼키고 설킨 의미들을 곱씹게 한다.
<
>에서는 지혜와 진언이 캠핑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곧 진언의 친구 기태와 기태의 연인 현진이 합류하기로 되어 있다. 여행을 떠나는 길에서부터 불길한 것들이 눈에 띈다. 차에 무언가 물컹한 것이 치인 것 같아 차를 멈추고 살피는 지혜의 눈에 맞은 편 차선에서 차에 치인 지 이미 오래 된 듯한 사체가 들어온다. 그러나 지혜는 굳이 진언에게 알리지 않고 계속 캠핑을 떠난다.
전 날 비가 온 데다, 겨울 초입의 쌀쌀한 캠핑장에는 아무도 없다. 지혜, 진언, 그리고 기태와 현진이 전부다. 그들은 텐트를 치고, 불을 피우고, 고기를 구워 먹고, 캠핑장에서 사는 것 같은 강아지와 고양이에게 고기를 던져 준다.
그들이 불가에서 나누는 이야기에서부터 호러가 시작된다. 아니, 길에서 발견한 사체에서부터 이미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할까. 그들은 반딧불을 찾으러 먼 길을 걸어가다 수상한 차를 발견한다. 그러나 그들의 호러는 1년이 지나고 다시 찾은 캠핑장에서 어떠한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진다.
<
>은 아주 독특한 형태의 호러물이다. 글쓰기 강의를 듣는 주인공이, 대화를 녹취하라는 숙제를 하기 위해 유튜버인 선배 영역의 방송을 받아 적는다. 이 소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내용은 영역의 유튜브 방송이다. 그리고 영역은 다시 케빈 조라는 유튜버의 시리즈물을 요약해서 전달한다. 케빈 조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이 호러의 중심이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영역이 참조한 이야기이고 영역의 이야기는 다시 주인공의 글쓰기 강의 과제물이 된다.
케빈 조의 이야기는 사라 윈체스터의 성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다룬다. 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지원해서 입주한 아티스트들이 의문을 남기고 실종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이야기의 끝을 알 수 없다. 케빈 조가 연락이 닿지 않고 그의 채널이 폭파된 후에 영역이 이 이야기를 전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저런 공포증에 가까운 것을 갖고 있어서, 호러물을 별로 즐기지는 않지만, 이 소설은 내 호기심을 유발하며 책장을 끝까지 넘기게 했다. 하필 밤늦은 시간, 모두가 잠든 후에 읽어서 이 소설의 호러 효과를 톡톡히 보느라 힘들었지만, 매력 있는 호러물임은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