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로봇이 낳아드립니다 - 교유서가 소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정은영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편리함과 효율성을 가져왔다. 그러나, 그게 과연 좋고, 옳기만 한 것일까? 사실 나는 과학기술의 발달에 회의적인 편인데, 이 소설집을 읽고 나자 과학기술에 대한 맹신, 오용의 폐해가 더 크게 다가왔다.
이 소설이 짚고 있는 또 한 가지는, 부모가 된다는 것이다. 부모가 자식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장애아가 생긴다면 그냥 낙태하면 되는 것인가? 그렇다면 장애아가 빼앗긴 삶은 어떻게 되는 거지?
사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좋은 부모가 된다는 것, 옳은 행동을 하고, 정의로운 부모가 된다는 것은 더 어렵다. 아이에게 자신의 사심에 찬 기대를 강요한다거나, 자신의 위신을 세우기 위해 아이를 이용한다거나, 자신이 이루지 못한 걸 아이가 대신하게 하는 등의 행동을 하지 않고 아이를 오롯이 존중하고 아이만을 위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이 소설집은 SF를 통해 이러한 질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임산부 로봇이 낳아드립니다>에서는 아이를 대신 낳아주는 임산부 로봇이 나온다. 임신과 출산이란 고통의 연속이니, 로봇이 대신 낳아주면 얼마나 좋을까? 게다가 임산부 로봇이 품고 있는 아기는 철저하게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만에 하나 장애가 있다면 낙태해야 한다는 법이 정해져 있는 이 소설 속의 세계가 끔찍하게 느껴졌다.

장애라는 것은 밀리유공원의 새소리, 나뭇잎 소리, 바람 소리처럼 그렇게 공존할 수 없는 겁니까?”
없어, 없다구. 공존할 수 없으니까, 이 어둠 속에 보내졌겠지. 사람들은 자신과 다르다는 건 견딜 수 없어하니까.”
(p. 27)


<
소년과 소년>에는 엘리트 병원장의 말썽꾸러기 아들 선호가 나온다. 공부는 하지 않고, 아빠의 플라잉카를 훔쳐 타며 폭주족 생활을 한다. 그러다 플라잉카를 타는 중 선호가 사고를 당하자, 병원장 아빠는 뇌 수술을 감행한다. 그리고 선호는 조금 다른 아이가 되어 돌아온다.

일기장의 첫 장을 잘 못 썼다면? 일기를 새로 쓰고 싶다면?
(51p)


아이를 자기 입맛에 맞도록 개조하겠다는 생각으로 선호의 아빠가 집도한 뇌 수술이 공포스럽기까지 했다. 이 소설의 마지막, 충격적이고 인상적인 한 마디를 잊을 수 없다.
사실 나는 과학기술과 윤리의 시각에서 이 소설을 읽었다. 소설 말미에 얼마 전에 부모가 되었다는, 그래서 부모 연작을 쓰고 있다는 작가의 말을 읽고 나자, 부모 자식 간의 관계의 관점으로 이 소설을 다시 보게 되었다.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SF라는 흥미진진한 형태로 멋지게 담아낸 소설이다. 읽는 즐거움과 SF만의 맛에, 철학적인 질문을 담은 이 책을 부모가 된 사람 뿐 만 아니라, 모든 이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