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의 벽 - 최고의 노인정신의학 전문의가 전하는 행복한 노년의 비밀 80세의 벽
와다 히데키 지음, 김동연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0대는 아직 많이 남았고, 부모님의 80대도 아직은 조금 남았다. 지금은 외할머니께서 80대를 지나시는 중이다. 2~3년 전만 해도 정정하셨던 외할머니가, 1년 새 급격히 기력을 잃으시는 것이 보여서 마음이 아프다. 이제는 집안일도 손에서 거의 놓으셨고, 봄과 여름에는 텃밭을 가꾸셨지만, 겨울이 되고 나서는 그것도 못 하신다. 노인정도 종종 다니셨는데, 요즘은 집 안에만 계시며, 구해다 드리는 시니어 컬러링북을 하시는 게 유일한 낙이다.

노인 의료 전문가인 와다 히데키는 <80세의 벽>에서 80대를 현명하게 보내는 새로운 관점의 방식을 제안한다. 나이가 들면 좀 더 건강에 신경을 쓰고, 먹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고 대부분의 사람이 생각하지만, 와다 히데키는 그런 것은 의미가 없다고 한다.
이미 80대가 되면 거의 100%라고 해도 좋을 만큼 모두가 암을 갖고 있고, 그것도 모르고 잘 살다가 다른 병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암은 80대가 되면 빨리 자라지 않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무리해서 항암치료나 절제를 하는 것을 와다 히데키는 권하지 않는다. 그는 오히려 80대가 되면 건강검진을 하지 말라고 권한다. 단지 검사 수치만 갖고 정상으로 돌려 놓으려는 의사들 때문에, 오히려 약을 먹다 독이 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도 잘 지내고 있는데, 굳이 정상 수치에 맞추려고 약을 복용하다 고령의 몸이 버텨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와다 히데키는 금연, 금주, 운동 등이 암을 예방하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이미 암이 발병한 후에 진행을 막는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고 말한다. 오히려 좋아하는 술, 담배를 참으려다 더 스트레스 받고, 무리하게 운동을 하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효과가 없다. 그는 좋아하는 걸 적당히 즐기기를 권한다. 운동도 억지로 무리하게 하기 보다는 쉬엄쉬엄 산책 같은 걷기 운동을 할 것을 권한다.
먹고 싶은 것도 참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노년에는 살짝 살집이 있는 사람이 더 오래 산다. 하고 싶은 것도 이 나이에.” 하면서 참을 필요가 없다.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것은 뇌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건강에 좋다.
나이가 들면 아무래도 못하게 되는 일이 많다. 어제 멀쩡하게 걸을 수 있다고 해서 오늘도 걸을 수 있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노쇠를 받아들이고, 병과 더불어 살며, 그 안에서 할 수 있는 일, 오늘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지금 할 수 있는 일, 잔존 기능을 자주 써 주어야 더 이상의 노쇠를 막을 수 있다.
다소 충격적일 수 있는 주장이었지만, 충분히 수긍이 갔다. 가끔 보면, 항암 치료를 거부하고 집에서 즐겁게 살다 돌아가시는 분이나, 암에 걸려도 좋아하는 술과 담배를 하시는 분을 본다. 때로는 기행이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그럴 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한 약으로 시들고, 하고 싶은 것도 못 하면서 치료를 했으나 허망하게 금세 떠나느니, 좋아하는 것들을 하면서 즐겁게 지내면, 더 활기찬 삶을 살 수 있고, 면역력도 좋아진다.
실제로 폐암에 걸린 노인이 금연으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자, 와다 히데키는 차라리 담배를 피울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그 노인은 향후 10년을 더 살다 다른 병으로 사망했다.
외할머니뿐 만 아니라, 모든 노인 분들이 무조건 병원과 의사에 의지하며 약과 수술에 시달리다 고통스럽게 삶을 마무리 짓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마찬가지로, 나도 생의 마지막에, 웃으며 세상에 인사하기를 바래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