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지도책 - 세계의 부와 권력을 재편하는 인공지능의 실체
케이트 크로퍼드 지음, 노승영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최첨단 기술을 다루는 회사에서 일했으면서도, 나는 왠지 인터넷의 확산이나 AI의 번성이 탐탁하지 만은 않았다. 물론, 좋은 기술이다. 살기 훨씬 편해졌다.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해서 무엇이든 할 수 있다. AI는 놀랍다. 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도 이긴다. 요즘은 간단한 상담 정도는 AI가 한다. 하지만 은연 중에는 인터넷이 없었던 그 시절이 훨씬 낭만적이고 행복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스멀스멀 드는 요즘이다.

<AI 지도책>은 나의 이런 막연한 느낌을 AI의 폐해라는 구체적인 사실로 드러내 주었다. AI가 환경 파괴적이라고? 노동자를 착취한다고? 사실, 이렇게 바로 연결 짓기는 쉽지 않다. AI의 폐해는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케이트 크로퍼드는 먼저 AI를 수행하는 기기들을 만드는 데 쓰이는 천연 자원부터 짚고 넘어간다. 석탄만이 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었다. 모든 종류의 천연 자원 채굴은 많은 양의 폐기물을 남긴다. 그리고 그 폐기물 처리며, 사고로 죽어가는 노동자며, 채굴이 끝나고 황량해지는 마을이며,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
AI
가 우리 일상을 편하게 해준다지만, 이런 비용을 따져 본다면, 어쩌면 우리에게 마이너스 효과만을 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AI
가 훌륭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기계학습을 위해 훈련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그 많은 데이터를 어디서 얻는가 하는 문제가 대두된다. 연구자들은 인터넷에서 마구잡이로 데이터를 긁어 모았고, 심지어는 허락도 받지 않고 몰래 사람들을 촬영하기까지 했다. 개인정보 보호나 윤리적 문제 따위는 생각도 하지 않고, 오로지 AI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이 데이터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냥 데이터만 있어서는 기계학습을 할 수 없다. 데이터에 라벨을 붙여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전세계의 수많은 노동자들이 푼돈을 받고 마이크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들을 데이터 라벨러라고 부르지만, 누구도 데이터 라벨러의 권익을 보장하거나 보호하지 않는다.
AI
라면 최첨단 기술이며,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 준다고만 철썩 같이 믿고 있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우리는 이쯤 해서 한 번 돌아보아야 하는 지도 모른다. AI가 어떤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 우리는 더 앞으로 나아가야만 하는지, 더 빠르게, 더 많이 쟁취해야만 하는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