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로 해독 - 그냥 두면 절대 풀리지 않는 피로, ‘만성피로증후군’의 모든 것
알렉스 하워드 지음, 서경의 옮김 / 니들북 / 2022년 11월
평점 :
어렸을 때는 분명 잘 시간이 다 되어도 똘망똘망, 힘이 넘치고 자기
싫었는데, 이제는 밤마다 지쳐 쓰러져 눕는다. 해야 할 많은
일을 해치우고 자리에 눕고 나면, 이불을 끌어다 덮을 에너지조차 없다.
주위에서는 별 달리 무리를 한 것 같지도 않은데 여기 저기 쑤시고 저리고 아프고 피곤하단다. 나이가
들면서 에너지가 떨어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일 테지만, 이 정도로 힘들다면 좀 고민할 만 한다.
<피로해독>의 알렉스 하워드는 그 자신이 만성피로증후군 환자였다. 바깥 출입을 하지 못할 정도로 심한 증세에 치료를 거의 포기하다시피 하고 TV나
보던 그는, 삼촌과 운명적 대화를 한 후 회복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기로 결심했다. 그는 만성피로증후군을 극복했으며 피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피로 전문 클리닉을 운영하게 되었다. 그는 진정 삶의 전사였다고 나는 생각한다. 알렉스 하워드는 자신이
알아낸 사실들과 자신이 도운 환자들, 그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주류의학에서는 피로에 대해 어떤 해결책도 갖고 있지 않다. 단지 만성피로증후군이라고 진단할
뿐이다. 즉, 피로는 주류의학에서 설명할 수 없는 증상이다. 피로는 세균 감염도 아니고, 환자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예후도 다르고, 운동 후 급작스럽게 몰려오기도 하고, 무리한 직후가 아닌 한참이 지난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주류의학은
아직 이 모든 것의 이유를 알 수 없다.
그러나 알렉스 하워드는 기능적 의학의 관점에서 전체론적으로 접근하여 많은 환자를 도울 방법을 찾아냈다.
기능적 의학은 질병의 기저에 깔린 원인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체계 중심의 의학적 접근법을 이용한다. 쉽게 설명해 기능적 의학은
단순히 증상을 치료하는 대신 피로의 근본 원인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p. 30)
피로는 성격과 깊은 연관이 있다. 성취를 극도로 지향하는 성격, 완벽주의자, 다른 사람을 도우면서 자신은 돌보지 않는 조력자, 매사 불안한 사람, 모든 것을 통제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치료를 해서 좋아진다고 해도 다시 악화되기 쉽다. 이전에
살던 방식대로 살다 보면 다시 피로를 마주할 수 밖에 없다. 결국 자신의 성격 유형이 발현되려고 하는
순간을 인지하고 삶의 방식을 바꾸는 훈련을 해야 한다.
경력이든,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서든,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든,
아니면 치유든 우리 몸이 요구하는 휴식의 필요를 무시하고 성취에 맹목적으로 매진하게 되면 지속 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없다.
(p. 72)
마찬가지로 과하게 활동하는 사람이라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소화기가 좋지 않거나, 면역 체계가 좋지 않거나, 커피나 당류 등의 자극적인 음식으로 호르몬 균형이 유지되지 않는 사람이라면 피로를 경험할 수 있다.
회복하기 위한 전략은 사람마다 다르다. 모두가 다른 이유로 피로하기 때문에 식이요법도 자신에
맞는 것을 실천해야 하며, 자신의 몸이 보내는 신호를 자신이 스스로 주의 깊게 살펴 꼭 맞는 전략을
써야 한다.
우리 몸 안에는 놀라운 지혜가 숨어 있는데
항상 자신과 소통하고자 노력한다는 것이다. 먹을 때가 됐다는 것을 알려주는 허기처럼 분명한 것에서부터
잠을 자라고 말해주는 졸린 경우까지 몸은 끊임없이 메시지를 전해준다. 문제의 핵심은 그런 메시지가 정말
있느냐가 아니라 우리가 진정 그 메시지를 듣고 있는가 이다.
(p. 168)
피로에도 유형이 있다. 마음이 괴로워 피로한 정신적 피로,
힘든 감정 때문에 생기는 정서적 피로, 몸이 과하게 활동했을 때의 신체적 피로, 단조롭고 지루한 주위 때문에 생기는 환경적 피로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 따라 피로의 원인을 찾아 제거해야 한다.
회복은 점진적으로 해야 한다. 먼저 깊은 휴식을 취하다 신경계를 안정시키고, 일상으로의 복귀를 조금씩 시도해야 한다. 마음챙김 명상,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올바른 식단,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 책을 읽고 나니, 피로는 백인백색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의 경우 피로한 성격, 카페인 섭취, 정서적
피로 및 신체적 피로가 겹친 것 같다. 이제부터 마음도 여유롭게 가지고, 커피 대신 허브티를 시도해보고, 과도한 일을 잡지 않으며, 내 몸의 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이자고 다짐해본다. 어렸을 때마다
했던 생각, ‘자기 싫어. 하던 거 더 하고 싶어.’ 를 다시 해볼 수 있는 그 날까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115/pimg_793826177363290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