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흔적을 지워드립니다 - 특수청소 전문회사 데드모닝
마에카와 호마레 지음, 이수은 옮김 / 라곰 / 2022년 10월
평점 :
누군가가 떠난 자리를 청소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안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김완 작가의
<죽은 자의 집 청소>라는 책에 대한 이야기를
어디선가 읽고 나서였다. 그러나 그 때도, 장의사를 부르는
것 같은 장례 절차의 하나인가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흔적을
지워 드립니다>를 읽고 나서, 그게 착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가족들에게 둘러싸여 떠난 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일이라는 걸. 그런 사람은 가장 가까웠던 사람이 염을 해주고, 유품을 정리하고, 가는 길을 배웅해준다.
특수청소가 필요한 사람은 고독사, 자살, 살인
현장에서 떠난 사람들이다. 그들은 떠나고 나서 2주가 지나도
발견되지 못하기도 하고, 그 사이 시신이 부패해서 녹아 내리게 된다.
죽은 자의 집을 청소하는 사람들은 이런 현장을 청소하고 정리하고 유품을 소독하고 폐기 처리한다.
<흔적을 지워 드립니다>의 주인공은 노래방 등지를 전전하며 별 생각 없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아사이다. 그는 고독사한 할머니의 장례를 치르고 술집에 들렀다가 우연히 사사가와라는 남자를 마주친다. 그리고 어느새 사사가와의 특수청소 회사 데드모닝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다.
그들이 함께 청소한 곳은 고독사 현장, 아이와 엄마의 동반 자살 현장, 1년 동안 버리지 못한 유품 정리 의뢰가 들어온 곳 등이었다. 아사이는
부패한 냄새가 심하고, 거대한 파리와 구더기 떼며, 쥐까지
출몰하는 현장에서 쓰러지는 다다미에 깔리기까지 하면서 우왕좌왕한다. 도저히 견디기 힘든 현장이지만, 그는 조금씩 노하우를 익히며 특수청소에 적응해간다.
특수청소를 의뢰하는 사람들은 고인에게 전혀 애정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세 들어 산 사람이
고독사하자, 다시 세를 놓지 못할까 봐 어서 냄새를 해결하라고 아우성인 사람도 있고, 고인에게 전혀 애정이 없는 데다가, 특수청소하는 사람들을 깔보는
사람도 있었다.
아사이는 그런 열악한 환경에서도 진심을 다해 청소하는 사람으로 조금씩 성장한다. 곧 폐기될
물건이더라도 고인이 아끼던 유품을 소중히 다룬다거나. 청소하다 본 이런 저런 단서로 고인이 마지막으로
남긴 메시지를 찾아 유족에게 전해준다거나.
사사가와는 조심스럽게 방의 구석에 있는
블록 하나를 비닐 봉투에 넣었다. 어디에나 있을 법한 그리고 단 하나밖에 없는 삶의 흔적이 사라지기
시작한다는 신호였다. 나도 말없이 벽에 붙어 있는 그림에 손을 뻗었다.
태양 아래 세발자전거를 타고 있는 자신을 그린 그림이었다. 옆에 어머니처럼 보이는 사람도
그려져 있었다. 눈가에 웃음을 간직한 사람이었다.
(p. 328)
그들이 찾은 현장에는 떠난 이들의 흔적과 자취가 남아있었다. 비록 끔찍한 모습이더라도. 시신이 녹아 내린, 차마 볼 수 없는 현장이더라도. 사사가와는 모든 현장 앞에 스위트피 조화를 조심스레 놓는다. 그저
그 흔적을 치우는 사람일 뿐이더라도. 마음을 담아.
많은 죽음의 현장을 경험한 사사가와는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모든 죽음은 다르다라는 답을 한다. 각각의
삶이 다른 만큼 수만 개의 다른 죽음이 있다고.
내가 떠난 뒷모습은 어떨까. 내가 떠난 자리에는, 해야
할 일을 모두 끝마친 홀가분한 얼굴이 남아 있었으면 좋겠다고 책장을 덮으며 생각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