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읽기를 넘어 같이 읽기의 힘 - 공감, 치유, 성장의 가치를 함께하는 독서모임 만들기
신화라 지음 / 보아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봄, 인근 도서관에서 독서 모임을 시작했다. 처음 취지는 영어 소설 원서를 읽고 영어로 토론하는 것이었으나, 첫 모임에서 영어도 좋지만 문학적인 내용에 대한 토론 등 책을 즐기는 데에 더 중점을 두기로 했다.
우리는 함께 <Pachinko>를 읽고, <The Catcher in the Rye>도 읽고, <Tuesdays with Morrie>도 읽었다. 매 모임마다 읽어야 하는 진도가 있다 보니, 완독하기 쉽지 않은 원서도 자연스레 읽게 되었다. 처음에는 논제를 뽑아서 토론만 하다가, 나중에는 영어 단어도 공부해보고, 감동적이었던 문구도 공유하고, 관련한 자료를 같이 읽거나 오디오를 같이 들어 보기도 했다.
그 모임에서는 동아리 대표자를 뽑지 않았다. 회원들이 돌아가면서 모임을 리드했기 때문에 매 모임마다 특색 있고, 다양한 모습의 재미있는 모임이 되었다. 나도 리드해야 할 때 단어도 찾고, 관련해서 공유하면 좋을 만한 오디오도 준비하고, 얘기해볼 논제도 뽑아보며 열심히 준비해보았다.
<
혼자 읽기를 넘어 같이 읽기의 힘>은 모임을 리드할 때 어떻게 논제를 뽑아야 하며, 어떻게 준비해야 알찬 시간이 될까 고민이 되어 읽게 되었다. 신화라 작가는 블로그나 맘 카페 등을 이용해서 여러 개의 독서 모임을 운영하는 리더였다. 도서관에 담당자가 있는, 내가 가는 독서 모임과는 조금 다른 형태이지만, 그의 독서 모임 운영 체험기는 상당히 흥미로웠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독서모임에서 같이 읽은 책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모임의 회원들과 함께 직접 실천에 옮긴 내용이었다. 그들은 같이 걷고, 마라톤에도 도전하고, 환경 보호 활동 역시 함께 했다. 그저 같이 읽고 토론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을 조금이나마 변화시키고, 그 과정을 함께하는 친구들이 있다는 것이 너무 근사했다.



지식을 추구하고 지향하는 독서모임의 역할 중 하나는 문제의식을 끊임없이 상기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며, 나아가 함께 행동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p. 106)



나도 독서모임 회원들과 원서를 읽고, 무언가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이 있다면 삶이 더없이 풍성해질 것 같은 생각에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신화라 작가가 운영하는 독서 모임은 엄마들의 모임부터, 고전을 읽는 모임, 경제 공부를 하는 모임 등 다양했다. 그는 모임 후 후기를 블로그에 차곡차곡 쌓는다. 그러한 활동들이 자신의 경력이 되어서, 독서 모임 리더로 활동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내가 하고 있는 모임의 후기도 블로그에 써 보고 싶어졌다. 도서관의 독서 모임도 나가고 있지만, 서점에서 모집한 독서 모임도 작게 하고 있고, 글쓰기 소모임에도 온라인이지만 나가고 있다. 그런 모임들의 후기를, 때로는 리드한 게 아니었다고 해도 블로그에 쌓아보고 싶어졌다.
내가 고민했던, 독서 모임의 논제를 발제 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책은 아니었지만, 독서 동아리 리더로서 모임을 운영하는 노하우를 전수하고, 독서 모임으로 인해 풍요로워지는 삶을 이야기하는 책이었다. 기대와는 다른 책이었다고 해도 그 나름의 좋은 부분이 많았다.
책은 독서 모임 운영에 대한 Q&A, 독서모임에서 같이 읽으면 좋을 만한 양서를 실은 부록으로 끝난다. 독서 모임을 운영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아주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책이고, 독서 모임에 관심이 있거나 나가고 있는 사람이라면 좋은 자극이 될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