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사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 남자와 여자라는 것은 무엇일까. 모두는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두 가지 극단의 어딘가에 위치한 것이라 생각했다. 100% 여성적인 사람도 없고 100% 남자다운 사람도 없다고. 하지만 <외사랑>을 읽고 나니 그것만으로는 무척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몸은 여자이나 마음은 남자인 사람. 반대로 몸은 남자이나 여자가 되고 싶은 사람. 또는 여자와 남자의 특성을 모두 가진 사람도. 세상에 한 자리를 갖기 위해 지금도 분투하고 있다.
추리소설로 유명한 히가시노 게이고가 젠더 문제를 꺼냈다.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데이토 대학 미식 축구부원들. 선수들과 여자 매니저들의 동창회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미식축구부원들이 등장하는 만큼, 격렬하고 냉정한 스포츠 세계의 언어와 살인 사건이 얽혀 들어가고, 거기에 성 정체성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들의 사연이 섞여 들어갔다.
주인공인 데쓰로는 데이토 대학 미식 축구부의 스타 쿼터백이었다. 미쓰키와 리사코라는 두 명의 여자 매니저 중 리사코와 결혼했다. 그런 그들 앞에 오랜만에 미쓰키가 나타난다. 그리고 미쓰키는 사실 남자의 마음을 가졌다고, 또한 리사코를 사랑했노라고 고백한다. 거기에다 남자의 정체성을 갖고 바텐더로 일하면서,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하려다 사람을 죽이고 말았다고.
데쓰로와 리사코의 집에서 지내던 미쓰키가 사라지자, 데쓰로는 그 뒤를 쫓는다. 시작부터 충격적인 사실들이 등장했으나, 중간 이후로 갈수록 점입가경이 되었다. 데쓰로가 조사한 이러 저러한 사실들은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것들뿐이다. 살인 사건이며, 그 주변 인물들의 실종이며, 모두 어떻게 된 건지 알 수가 없다.
후반부에 드디어 히가시노 게이고 작품의 특징인 명 추리가 등장한다. 그 미스터리한 사실들의 모든 퍼즐이 맞추어질 때,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한 시도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을 정도로.
그에 더해서 자신이 타고난 성 정체성을 의심하는 사람들의 아픔과 절박함이 너무나 깊게 전해졌다. 내가 왜 남자로 살지 못하느냐고. 언제야 마음 편하게 남자로 살 수 있냐는 한 트랜스젠더의 외침이 가슴에 깊게 내려앉았다.

그들을 궁지에 몰아넣은 것이 이른바 윤리라 불리는 것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 윤리가 반드시 인간의 옳은 길을 드러낸다는 보장은 없다. 대부분은 그다지 대단한 근거도 없는 사회 통념에 불과하다.
(p. 397)


여성과 남성이라는 것은 뫼비우스의 띠 같다는, 어떠한 호르몬 요법이나 수술도 받지 않고 남자로 사는 트랜스젠더의 말이 뇌리에 박힌다. 우리는 남자든, 여자든, 누구나 사람이라고. A형도, B 형도 사람인 것처럼. 그게 남자이자 여자든, 남자의 마음을 가진 여자든, 누구나 사람이라는 것을 아무도 주시하지 않는다고. 받아들여진다면, 무엇도 바꾸지 않고 자신의 모습 그대로 살고 싶다고. 물론 받아들이는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답게, 미스터리와 살인 사건, 사건을 쫓는 여러 사람 사이의 신경전과 싸움, 기가 막힌 추리가 돋보이기도 했지만, 우리 사회가 외면한 젠더 문제를 깊게 파고든 작품이었다.
사실 트랜스젠더에 대한 어떠한 이해나 동정심이랄까, 개인적인 견해는 별로 없었던 나였으나, 이 책을 덮으며 너무나 힘든 싸움을 했을 그들을 응원하게 되었다. 타고난 정체성이 아닌, 그들이 느끼는 자신을 찾아서 부디 행복하게 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