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 철학 - 실체 없는 불안에 잠식당하지 않고 온전한 나로 사는 법
기시미 이치로 지음, 김윤경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이라는 책을 읽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적당한 경제력을 갖추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안, 즉 지위로 인한 불안을 철학적인 관점에서 그는 낱낱이 파헤쳤다.

이번에 읽은 <불안의 철학>은 조금 다른 관점에서 불안을 접근한다. 불안은 무언인가의 원인이 되기 보다는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내는 감정이라는 것이 그의 의견이다. 즉 불안해서 결정을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결정을 내리고 싶지 않아 불안이라는 감정을 만들어내고, 결정을 하지 않는 이유가 불안해서라며 합리화를 하는 것이다.
불안한 사람은 인생의 과제를 회피하고자 하는 사람이다. 기시미 이치로가 말하는 인생의 주요 과제란 생업, 친구, 반려자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은 마음대로 잘 되지 않을 때가 많고, 누구나 한 번쯤은 역경을 만나게 된다. 이 역경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사람은 불안함을 느끼고 불안하니까 도망친다는 합리화를 하고 만다.
또 하나의 경우는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경우이다.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할 것을 걱정하는 사람은 그 자체뿐 만 아니라 좋지 않은 결과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낮은 평가를 받을 것을 두려워한다. 그리고 역시 불안해진다. 그 결과 과제에 별로 노력을 하지 않지만, 불안해서 과제를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과제를 하지 않기 위해 불안을 부른 것이다. 좋지 않은 결과를 받았을 때 원인을 분석해보고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불안해지지 않는다.
아들러 심리학의 연구자인 기시미 이치로는 철저히 아들러의 목적론에 입각하여 불안을 분석했다. 아들러의 목적론은 상당히 낯선 주장이었지만, 이를 바탕으로 기시미 이치로가 기술해 낸 불안의 정체 역시 쉽게 생각해보지 못한 것이었다.
사회불안이라는 것이 있다. 사람들하고 어울리려고만 하면 너무나 불안해져서 고통스러워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이다. 어쩌면 그들은 사람들하고 좋은 관계를 맺을 자신이 없어서, 거기서 도망가기 위해 불안을 만들어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종종 느껴오던 불안을, 아들러 심리학이라는 다른 시각에서 낱낱이 파헤쳐보는, 새로운 독서 경험을 할 수 있는 책이었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나면 어쩌면 우리는 불안에 대해서 조금 다른 생각과 경험을 할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